📌내 투자와 연결되는 시세트래킹

오늘은 안양동안구를 보겠습니다.

📍대장

평촌더샵센트럴시티(2016,공급80)9.7/5.5(투자금4.2억, 전고10.9억)

평촌더샵센트럴시티(2016,공급112)12.3/7.5(투자금4.8억, 전고15.4억)

평촌신축대장 더샵센트럴시티는 전세가 없어 전세가격이 약간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 비교평가 : 전고점 10억 20평대 수도권 아파트 비교평가

<기준> 평촌더샵센트럴시티(2016,공급80)9.7/5.5(투자금4.2억, 전고10.9억)

산성역포레스티아(2020,공급77)10.15/5.5(투자금4.65억, 전고11.4억)

강서구 마곡수명산파크5단지 전용80 (8.3/5 투자금 3.3억, 전고점 10.5억)

마포구 상암월드컵파크12단지 전용81 (8.6/5.5 투자금 3.1억, 전고점 9.97억)

성동구 응봉신동아 전용81 (8.2/4.6 투자금 3.6억, 전고점 10.2억)

- 평촌 대장 24평의 전고점이 10억대입니다.

- 구성남의 산성역포레스티아 11.4억보다는 낮습니다.

- 서울과 비교평가해보면 4군의 선호단지들과 비슷합니다.(강서구 수명산파크5단지 정도)

>> 평촌의 선호신축단지는 같은 4군인 강서구, 구성남과 비슷한 입지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2군인 마포구, 성동구의 꼴등급 단지들과 비슷한 입지가치를 가집니다. (2군 꼴등급 단지 = 4군 선호단지 = 전고 10억~11억대)

- 비교단지들과 비교해보면 평촌센트럴파크가 비쌉니다. 하지만 입지가치는 비슷하기 때문에 전세가는 비슷합니다. 따라서 투자금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투자처로 매력이 떨어집니다.

📍신축

평촌더샵아이파크(2019,공급82)8.9/5.1(투자금3.8억, 전고10.2억)

평촌센텀퍼스트(2023,공급82)8.5/5.6(투자금2.9억, 전고10.2억)

평촌 신축아파트는 24평 기준 8억대/5억대로 투자금 3억 중반대로 투자가능합니다.)

📍구축

무궁화효성,한양(1992,공급78)5.4/3.3(투자금2.1억, 전고6.9억)

무궁화금호(1992,공급74)6.5/4(투자금2.5억, 전고7.3억)

공작부영(1993,공급83)5.8/3.5(투자금2.3억, 전고7.9억)

시간이 없어서 3개단지만 봅니다. 비슷한 단지들을 찍어봤는데 전고점이 7억대입니다. 부영이 제일 좋아보입니다.

📍비교평가

[전고점 17억 이상]

종로구 홍파동 경희궁자이2단지 전용82 (20/9.5 투자금 10.5억, 전고점 17.7억)

✓ 동작구 아크로리버하임 전용80 (19.5/9 투자금 10.5억, 전고점 18.1억)

[전고점 10억대] :: 8억대/5억대(투자금 3억중반)

평촌더샵센트럴시티(2016,공급80)9.7/5.5(투자금4.2억, 전고10.9억)

평촌더샵아이파크(2019,공급82)8.9/5.1(투자금3.8억, 전고10.2억)

중앙힐스테이트2차(2014,공급108)8.8/5(투자금3.8억, 전고10.7억)

강서구 마곡수명산파크5단지 전용80 (8.3/5 투자금 3.3억, 전고점 10.5억)

마포구 상암월드컵파크12단지 전용81 (8.6/5.5 투자금 3.1억, 전고점 9.97억)

성동구 응봉신동아 전용81 (8.2/4.6 투자금 3.6억, 전고점 10.2억)

- 평촌 대장 더샵센트럴시티와 강서구 수명산파크5단지가 비슷한 가치를 가집니다. 비교단지들과 비교해보면 평촌센트럴파크가 비쌉니다. 하지만 입지가치는 비슷하기 때문에 전세가는 비슷합니다. 따라서 투자금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투자처로 매력이 떨어집니다.

[전고점 9억] 9억대/5억대(투자금 4억초반)

창신동 두산 전용86.3 (8.5/4.5 투자금 4억, 전고점 8.6억)

창신동 두산 전용86.3 (9.3/4.7 투자금 4.6억, 전고점 9억)

행당신동아 전용76 (9.3/5.2 투자금 4.1억, 전고점 10.2억)

길음뉴타운6단지래미안 전용78 (9.2/5 투자금 4.2억, 전고점 10.3억)

✓ 신동아리버파크 전용85 (9.1/5.3 투자금 3.8억, 전고점 10억)

- 창신동 두산아파트는 24평 전고점 9억으로, 현재 같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는 9억초반 단지들과 비교하면 싸지 않습니다.(행당신동아, 길뉴6, 무악현대)

- 창신동 두산아파트와 노량진 신동아를 비교하면 입지와 선호도 측면에서 노량진신동아리버파크가 좋습니다.

[전고점 7억대] :: 6억대/4억대 (투자금 2억초~중반)

✓ 공작부영(1993,공급83)5.8/3.5(투자금2.3억, 전고7.9억)

성북구 돈암범양 전용83 (6.05/3.8 투자금 2.25억, 전고점 7.58억)

종로구 창신동 창신쌍용2단지 전용87.3 (6.2/3.8 투자금 2.4억, 전고점 7억)

무궁화효성,한양(1992,공급78)5.4/3.3(투자금2.1억, 전고6.9억)

- 공작부영이 주차장이 없고 복도식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비교단지들 대비 가격이 싸다고 생각됩니다.

[오늘 본 단지 list]

평촌더샵센트럴시티(2016,공급80)9.7/5.5(투자금4.2억, 전고10.9억)
평촌더샵센트럴시티(2016,공급112)12.3/7.5(투자금4.8억, 전고15.4억)
평촌더샵아이파크(2019,공급82)8.9/5.1(투자금3.8억, 전고10.2억)
평촌더샵아이파크(2019,공급111)11.3/7(투자금4.3억, 전고13.4억)
평촌센텀퍼스트(2023,공급82)8.5/5.6(투자금2.9억, 전고10.2억)
평촌센텀퍼스트(2023,공급110)12.9/7.7(투자금5.2억, 전고13.4억)
평촌어바인퍼스트(2021,공급85)7.6/4.3(투자금3.3억, 전고9억)
평촌어바인퍼스트(2021,공급114)10.3/5.8(투자금4.5억, 전고12억)
무궁화효성,한양(1992,공급78)5.4/3.3(투자금2.1억, 전고6.9억)
무궁화금호(1992,공급74)6.5/4(투자금2.5억, 전고7.3억)
공작부영(1993,공급83)5.8/3.5(투자금2.3억, 전고7.9억)

반응형

오늘은 구성남의 시세를 보겠습니다.

📍 대장단지

- 대장 산성역자이푸르지오 24평 10억/5.5억(전고 11억), 34평 12.5억/6.7억(전고 14억)

 

- 24평이 34평보다 전고점 회복력이 빨랐습니다. 4군정도의 역세권 대단지 아파트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10억내외의 금액으로 살 수 있는 젊은층들이 구매 가능한 금액대이기 때문입니다.

- 구성남 대장아파트 시세를 보면 전세와 매매 모두 25년들어 꺾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정부가 24년 하반기 극단적으로 대출을 조이면서 (DSR 2단계 도입(24.09)) 9억이 넘는 아파트에 대한 구매력이 약화되었으며, 그것이 거래량 감소로, 결국은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 25년 수도권 시장이 한걸음 주춤한것은 24년 하반기 정부의 대출규제 영향이 컸습니다. 25년 2월 기준금리를 2.75%로 내린 이 시점에 여전히 주택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은 있겠으나 DSR 규제는 동일하기 때문에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 여기서 궁금한점은 사람들의 심리가 실제로 위축된것인지, 대출이 어려워서 구매하지 못하는것인지가 궁금합니다.

- 실제로 현장에서 느낀점은 7~10억대 서울 구축 역세권 아파트의 실거주 매매수요는 여전히 큰 상황이였습니다. 조금 올랐지만 여전히 신생아특례가 매매가액 9억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3호선

- 반면에 10억이 넘는 아파트들에 대해서는 물건이 나가고 줄지어 집을 보는 분위기는 아니였습니다.(상도동 신축, 가재울 신축, DMC, 흑석동)

- 대출규제의 영향때문이라고 생각되는데 사람들의 주택 매수 심리가 줄어든것인지는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네요. 매수심리를 찍어보았는데 24년 8월(스트레스DSR 2단계 시행전, 수도권 상급지 불장) 매도세는 최저를 찍고 25년 1월까지 꾸준히 매도세가 증가했습니다. -> 24년 8월 이후 대출규제로 거래가 잘 되지 않자 매도자들의 매도세가 올라간것입니다.

- 심리지수 그래프에서 보이는 차이점은 강남권의 매수세가 강북권의 매수세보다 크다는것입니다. 강남/강북의 구분기준이 애매하기 때문에 크게 유의미하지 않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이 2월 해제되면서 강남,서초,송파 강남권의 매수세가 증가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10억대의 역세권 신축아파트 산자푸, 산푸자를 보다가 갑자기 브레인스토밍을 했네요.

다시 돌아가서 시세를 보겠습니다.


📍 역세권 신축급 단지(선호도O)

단대푸르지오(2012,공급85)8.5/4.8(투자금3.7억, 전고9.6억)

단대푸르지오(2012,공급110)9.7/5.5(투자금4.2억, 전고11.3억)

중앙힐스테이트2차(2014,공급77)7.9/4.7(투자금3.2억, 전고8.8억)

중앙힐스테이트2차(2014,공급108)8.8/5(투자금3.8억, 전고10.7억)

역세권 신축급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입니다.

24평 기준 3억초반대로 매수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가격이 많이 올랐습니다.

<중앙힐스테이트2차>


📍 역세권 구축 단지(선호도△)

신흥동 두산(1993,공급82)6.5/3.5(투자금3억, 전고8.1억)

신흥동 두산(1993,공급95)7.8/5(투자금2.8억, 전고9.3억)

단대진로(1998,공급82)5.5/3.5(투자금2억, 전고6.5억)

역세권 구축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언덕배기의 균질성이 떨어지는 아파트입니다.

이 단지들은 가치성장투자로 고려하지 않고 있지만, 가격이 싸기 때문에 돈을 벌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 단지들은 24년도에 많이 오르지 못했습니다.

<신흥동 두산아파트 31평>

 

 

[오늘 뽑은 1등]

중앙힐스테이트2차(2014,공급108)8.8/5(투자금3.8억, 전고10.7억)

>> 7호선 신흥역 이용하여 강남 접근 40분 가능한 신축급 단지의 33평 가격이 8.3~8.5억 사이로 매수한다면 괜찮은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전고점 10.7억) 앞마당 8억대와 비교는... 다음에 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보겠습니다.

[오늘 본 단지List]

산성역포레스티아(2020,공급77)10.15/5.5(투자금4.65억, 전고11.4억)
산성역포레스티아(2020,공급108)12.5/6.7(투자금5.8억, 전고14.4억)
산성역자이푸르지오2단지(2024,공급79)9.6/5.3(투자금4.3억, 전고11.4억)
산성역자이푸르지오2단지(2024,공급108)11.3/6.5(투자금4.8억, 전고14.4억)
신흥동 두산(1993,공급82)6.5/3.5(투자금3억, 전고8.1억)
신흥동 두산(1993,공급95)7.8/5(투자금2.8억, 전고9.3억)
단대진로(1998,공급82)5.5/3.5(투자금2억, 전고6.5억)
단대푸르지오(2012,공급85)8.5/4.8(투자금3.7억, 전고9.6억)
단대푸르지오(2012,공급110)9.7/5.5(투자금4.2억, 전고11.3억)
중앙힐스테이트2차(2014,공급77)7.9/4.7(투자금3.2억, 전고8.8억)
중앙힐스테이트2차(2014,공급108)8.8/5(투자금3.8억, 전고10.7억)
반응형

📌내 투자와 연결되는 시세트래킹

오늘은 하남시 시세를 보겠습니다

오늘도 24평 기준으로 검토합니다.

[미사]

- 미사생활권 24평 아파트는 8.5~9억 / 5억초중반 (전고 9억중반) 가격을 형성중입니다. 역시 사람들이 많이 선호하는 단지들이라 많이 오른 가격입니다.

- 투자금은 3억초중반이 필요합니다.

- 비슷한 가격대를 보여주는 단지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준> 미사강변센트리버 전용81 (8.5/5.4 투자금 3.1억, 전고점 9.47억)

강서구 마곡수명산파크5단지 전용80 (8.3/5 투자금 3.3억, 전고점 10.5억)

마포구 상암월드컵파크12단지 전용81 (8.6/5.5 투자금 3.1억, 전고점 9.97억)

성동구 청계현대 전용81 (8.9/5.3 투자금 3.6억, 전고점 9.8억)

성동구 응봉신동아 전용81 (8.2/4.6 투자금 3.6억, 전고점 10.2억)

2군 성동구 끝자락 복도식 구축, 2군 마포구 끝자락 상암동 선호도 떨어지는 단지, 4군 강서구 선호도높은 준구축단지입니다.

모두 경기4군의 선호도 높은 단지들의 비교대상입니다. (2군 꼴등급 단지 = 4군 선호단지)

이들 단지들을 투자한다면,

단지대 단지로 비교해야겠지만, 이정도면 땅의 가치를 먼저 볼 것 같습니다.

전고점 10억 조금 아래의 단지들로 가치성장투자로 유의미한 단지이기 때문입니다.

[신장 생활권]

- 신장동 24평 신축 대장은 호반인데요, 8.4/4.2억으로 싸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 신장동 구축 24평은 6억초/4억초(투자금 2억초, 전고점 7억중반)입니다.

비슷한 가치를 가지는 앞마당 단지들은,

서울 4군 구축, 중소도시 대장급신축이 있습니다.

<기준> 신장에코타운1단지 전용77 (6.5/4.2 투자금 2.3억, 전고점 7.55억)

하남시 돈암삼성 전용79 (6.45/3.7 투자금 2.75억, 전고점 7.6억)

하남시 돈암범양 전용83 (6.05/3.8 투자금 2.25억, 전고점 7.58억)

청주 가경아이파크3단지 전용109 (6.3/4.7 투자금 1.6억, 전고점 7.7억)

천안 불당호반베르디움센트로포레 전용113 (6.5/4.5 투자금 2억, 전고점 8억)

이들 단지들을 투자로 고려한다면,

단지대 단지로 비교해야겠지만, 성북구 돈암동을 먼저 볼 것 같습니다.

하남 신장동 구축보다 훨씬 교통이 좋고(5호선 종점 < 4호선 길음역+동북선) 업무지구 접근성도 좋으며 더 가치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보유주택수가 늘어남에 따라 취득세, 양도세 등 사고파는데 필요한 부대비용을 고려했을때

5년이상 보유하며 전세금을 올려받기 좋은 서울이 지방중소도시 대장보다 저에게 적합한 투자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너무 피곤해서.. 이정도만 보겠습니다 ㅠ.ㅠ

[오늘 본 단지 LIST]

미사강변센트리버 전용81 (8.5/5.4 투자금 3.1억, 전고점 9.47억)
미사강변도시8단지스타힐스 전용82 (9/5.4 투자금 3.6억, 전고점 9.46억)
미사강변파밀리에 전용80 (8.7/5.4 투자금 3.3억, 전고점 9.3억)
호반써밋에듀파크 전용81 (8.35/5.3 투자금 3.05억, 전고점 8.7억)
신장에코타운1단지 전용77 (6.5/4.2 투자금 2.3억, 전고점 7.55억)
신장부영 전용81 (6/4 투자금 2억, 전고점 7.48억)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