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원메시지 : 자동 소득을 설계하고 돈, 시간 모두를 가진 사람이 되자.

 

 

 

📍키워드 :

#패시브프러너

#일과 돈

 

 

 

 

📍1장 :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1단계 - 질문을 던져라, 당신은 왜 부자가 되어야 하는가

📍2장 :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2단계 - 그들은 답을 알고 있다, 일하지 않아도 돈과 시간이 풍족한 삶

📍3장 :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3단계 - 최대한 빠르게 먼저 성공한 사람의 길에 올라탈 것

📍4장 :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4단계 - 성공 직전, 당신을 무너뜨릴지 모를 9가지 함정

 

 

 

 

🩷 책을 읽고 느낀점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경제적 자유'로 가는 현실적인 방법들을 알려주는 책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패시브프러너로 가고있는 지금 이 여정에 대해 점검하고 스스로 진정으로 원하는 삶에 대해 생각해보며 꿈과 돈 두가지에 대해 모두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자본주의에서 일하지 않아도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의 디테일한 원리를 알려줄 뿐만아니라, 마인드적으로도 많이 때려주어서 읽는 내내 내 꿈에 대해 생각하고 그곳에 다가가는 여정에서의 마음을 다잡을 수 있었던 너무 좋은 책이였습니다.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이 책은 '돈'에 대해 다룬 책일 것으로 예상했었는데 '일'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하게 만드는 책이였습니다.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 라는 책의 메시지인 스스로 '일'을 통해 비로소 나답게 사는 방법을 찾아가는 길을 찾아가자는 말이 떠올랐습니다.

 

<우선순위에 따라 살아라>

뼈를 때리는 말들이 너무나 많아서 읽는 내내 좀 아팠습니다. 

하루 일과를 끝내며 목실감을 체크하면 항상 다하지 못합니다. 우선순위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음을 또다시 발견했습니다. 이훈련은 주기적으로 해야하는것 같습니다. 한달의 원씽목표와 연결되는 일에 집중해야겠습니다. (우선순위)

 

 

 

 

 

🩷 책을 읽고 삶에 적용할 부분

<장기>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라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스스로의 삶에 대한 의미를 반드시 찾겠습니다.

📍언젠가는 저도 누군가의 멘토가 되겠습니다. 멋진 사람이 되겠습니다. (1. 그사람이 성과를 냈는지 2. 그사람의 제자가 성공했는지 3. 그사람이 선한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 생산자가 되겠습니다. 임대인이 되고, 제품을 팔고, 책을 쓰겠습니다. 

 

 

<단기>

📍새로 배우기 시작한 일에 대해 '올바른 멘토'를 반드시 찾겠습니다.(1. 그사람이 성과를 냈는지 2. 그사람의 제자가 성공했는지 3. 그사람이 선한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 명확한 결과를 결정해야하겠습니다. (무엇을, 언제까지, 어디서, 어떻게 성취하고 싶은지)

 

 

 

🩷 연관지어 읽을 책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 - 최인아

먀먀's 독서후기 : https://blog.naver.com/myadoong/223367868978?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책을 읽고 궁금한점

 

 

 

 

🩷 책을 읽고 기억하고 싶은 부분, 깨달은 부분

 

📍돈 때문에 꿈과 행복과 건강을 지키지 못하는 삶

12 아버지는 어째서 평생 경제적으로 쪼들리며 사셨을까? 아버지는 어째서 돈 하나만 보고 자신이 싫어하는 일을 평생 하셨을까? 아버지가 끝내 이루지 못한 다른 꿈들은 무엇이었을까? (중략) 내 주변에는 직장과 일 때문에 불행한 사람이 너무나 많았다. 내가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데? 나는 그렇게 살고 싶지 않았다. 어떤 대안이 있는지는 잘 몰랐지만, 더 나은 방법이 있어야 한다는 것만 잘 알았다.

>> 저자가 저자의 아버지의 한평생을 보며 느낀점을 적은 문단이다. 너무나 깊이 공감갔다. 우리 아버지가 생각났기 때문이다. 밤낮으로 야간근무를 하며 60세가 넘도록 일을 했던 우리 아빠. 우리아빠가 끝내 이루지 못한 꿈들은 무엇이었을까.

>> 내가 직장에 처음 취직했을때 느꼈던 감정이다. '어떤 대안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일을 하면서 평생 살아야한다니, 이건 지옥과 같다.'라고 생각했었다.

 

 

 

📍 직장을 해고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 월소득

2028년 은퇴, 전세금 20억 셋팅, 월소득 300만원

 

 

 

 

| 1장 :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1단계 - 질문을 던져라, 당신은 왜 부자가 되어야 하는가

 

📍★ 어떤 삶을 사는가는 자신에게 어떤 질문을 하는가에 정확히 비례한다.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

37 삶을 리셋할 수 있다면 어떻게 살고 싶은가

매순간 당신이 원하는대로 쓸ㅅ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다른 누구도 아닌 오직 당신 마음대로 할 수 있다면 과연 무엇을 하고 싶으까?

 

삶을 리셋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우리는 자신에게 어려운 질문을 할 수 있다. 지금의 일을, 지금의 경력을 다시 선택할까? 아니면 늘 원해왔던 일, 다시말해 평생 품어왔던 꿈을 이루기위한 노력을 시작할까? 일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까?

 

>> 정말로 중요한 질문이라고 생각된다. 일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면 나는 어떤일을 할것인지에 대한 질문이다. 이 대답에 답을 할 수 있을때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은퇴를 하는것에 의미가 생길것이며, 23년부터 나는 이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었다.(투자공부와 병행하며 깊게 고민하지는 못했다.)

 

 

 

 

📍 59 덕업일치란 허상인가

최소한 두 사람중 한 사람은 자신의 직업을 좋아하지 않는걸로 나타났다. 만약 당신이 이처럼 덕업일치를 이룬 소수의 행운아라면 진심으로 축하한다. 당신은 축볻받은 사람이니 지금처럼 계속 꿈의 일을 즐겨라

 

📍시간은 돈이 아니다. 돈보다 중요하다.

 

 

📍돈은 수단일 뿐 결코 목적일 수 없다.

 

 

📍진정한 부의 3요소 : 자동 소득, 재량 시간, 자유 선택

 

 

📍올바른 경기장에서 뛰고 있다면 믿고 견뎌라

p89 지수함수의 경로를 선택해 열심히 노력하건만 몇 년 동안 소득이 거의 없는 사람도 드물지 않다. 이런데도 불구하고 이 선택을 기꺼이 감내하는 이유는 딱 하나, 올바른 경기장에서 뛰고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성공의 길을 간다는 기분이 들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어느날, 모든것이 우상향으로 폭발하고 마치 하룻밤에 성공한것처럼 보인다.

>> 올바른 방식으로 투자했다면 믿고 견뎌야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해주는 문장입니다. 꼭 기억하고 싶은 문장입니다.

 

 

 

📍스스로 직장을 해고하고 패시브러너로 맞은 첫날

p95 패시브러너의 세상은 짜릿하다. (중략) 다시 말하지만 하룻밤에 이룬 성공이라는 말은 잊어라. 그곳은 어느날 아침 우연히 갈 수 있는 세상이 아니다. 일확천금이니 벼락부자니 하는 말로 사람들은 그것이 달콤한 유혹이라도 되는 양 말한다. 하지만 실제로 쉬운길이 아니다. 이왕지사 말이 나온김에 톡까놓고 말하겠다. 마침내 직장을 때려치울 수 있는 수준에 이를 때까지 한동안은 더 열심히 일하되 선택권과 자유는 더 없을 수도 있음을 각오하라.

>> 진짜 투자로 돈을 벌어본 사람이 해주는 이야기같습니다. 마침내 직장을 때려치울 수 있는, 패시브러너가 되기까지는 많은것들을 포기해야함을 알아야합니다. (가족과의 시간, 건강 등..) 그럼에도 더 가치있다고 생각하는일을 선택하는것입니다.

 

 

📍p102 절약이란 그 목적이 무엇이건 간에 훗날 더 큰것을 갖기 위해 지금 당장 무언가를 갖고 싶은 욕구를 참는 것이다.

 

 

 

 

| 2장 :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2단계 - 그들은 답을 알고 있다, 일하지 않아도 돈과 시간이 풍족한 삶

📍  p119 성공의 지름길을 열어주는 역할모델 따라하기

종자돈을 투자하는 마지막 방법은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궁극의 지름길이다. 바로 '역할모델을 따르는 방법'이다. 이것은 스스로 길을 개척하는 방법, 나아가 배우면서 돈을 버는 방법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지름길은 우리를 최종 목적지까지 이끌어줄 수 있는 사람과 협력하는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방법의 성공여부는 올바른 역할모델을 찾는것에서 판가름난다. 코치, 멘토, 선생님 누구든 상관없다. 당신이 원하는 구체적인 결과를 이미 달성했으면 당신도 이러한 결과를 성취하도록 기꺼이 비결을 나누려는 사람을 찾아라. 

>> 너바나님, 너나위님께서 해주신 말씀과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올바를 멘토를 찾는일' 정말 어려운일이라고 생각됩니다. 회사에서의 멘토, 투자에서의 멘토, 무언가 시작할때 방황하며 이곳저곳 알아보며 어려워했던 경험이 여러번 있습니다. 부동산의 경우에는 운좋게 월부에서 선한 멘토들을 만났습니다.

>> 지금 새로이 도전하려고 하는 일에서도 멘토를 찾고있습니다. 많은 책을 읽고 정보를 탐색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월부를 만나 올바른 투자를 배웠음에 너무나 감사했습니다. 역할모델을 따라하는 방법으로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핵심은 '올바른 멘토를 찾는것'이라고 합니다. 올바른 멘토를 꼭 찾아야겠습니다.

>> 너바나님께서 해주신 말씀중, 좋은 멘토의 3가지 조건은 1. 그사람이 성과를 냈는지 2. 그사람의 제자가 성공했는지 3. 그사람이 선한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였습니다. 3가지 조건을 꼭 고려하겠습니다. 

>> 나아가 누군가 방황하는 사람에게 '올바른 멘토'가 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꾸준히 실력을 쌓고, 내가 아는것을 나눠줄 사람을 찾아야겠습니다.( 1. 그사람이 성과를 냈는지 2. 그사람의 제자가 성공했는지 3. 그사람이 선한마음을 가지고 있는지  이 세가지를 갖추면 될것같습니다.)

 

 

📍p128 최종 목적지와 도착시간을 알아야 다다를 수 있다.

당신도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가장 먼저 당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목표를 정해라. 무엇을, 언제까지, 어디서, 어떻게 성취하고 싶은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결정하고 종이에 기록하라. 반드시 최종 기한을 정하고 목적의식을 가져야 한다. 

 

"인간의 마음이 상상하고 믿을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성취할 수 있다. 생각은 그 자체로 실체다. 생각은 명확한 목적과 불타는 욕망과 결합될 때 물질적인 부로 전환될 수 있는 강력한 실체다." 

 

>> 명확한 결과를 결정해야한다. (무엇을, 언제까지, 어디서, 어떻게 성취하고 싶은지)

 

 

📍p148 하나에 집중하라, 당신의 수입이 폭발할 때까지

하나의 목표에 온전히 전념하는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목표달성의 가능성을 급진적으로 끌어올리는 확실한 방법이다. (중략) 자동소득원을 선택한 다음에는 한 우물만 파야한다. 오롯이 이 자동소득원에만 집중하고 이것이 궤도에 올라 안정적인 소득을 창출할 때까지 다른것에는 곁눈질도 하지 마라. 

>> 뼈를 때리는 말이다.

>> 실력있는 부동산 투자자가 되어 일하지 않아도 월 600만원의 소득을 발생시킨다. 이것이 나의 원씽 목표이다.

>> 인간의 '의지력'은 유한한 자원임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매일 하는 루틴들로 벅찰때가 많습니다. 많이하는것보다 중요한것을 집중해서 해야겠습니다.

 

 

 

 

 

 

| 3장 : 패시브프러너가 되는 3단계 - 최대한 빠르게 먼저 성공한 사람의 길에 올라탈 것

 

 

📍p175 부의 첫걸음 :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가 되어야 한다

세상의 모든 거래는 주는쪽과 받는 쪽이 있다. 돈이 사람에게서 사람에게로 옮겨갈 때 가치가 교환된다.(중략) 나는 우리 모두 생산자가 되기를 바란다.  (중략) 생산자는 현실적으로 어떤 모습일까? 생산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임차인의 삶을 청산하고 임대인이 되어라. 제품을 구매하지 말고 제품을 팔아라. 책을 많이 읽고 그런다음 책을 직접 써라. 

>> 임대인이 되고, 제품을 팔고, 책을 쓰자.

>> 가치가 교환된다. 

 

 

 

📍p195 노력대비 보상이 가장 큰 창조자형 패시브프러너

장점은 자금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중략) 창조자로서 성공하고 싶다면 방법은 하나뿐이다. 에너지와 집중력과 시간을 투자해 막대한 희생을 치러야한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몇년간 전통적인 방식으로 죽어라 일하는것이 겁나지 않는 사람은 창조자로서 풍부한 현금흐름을 생성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투자하겠다는 의지는 창조자에게 필수 덕목이다.

>> 장기전이다. 꾸준히 죽어라 내 분야에서 무언가를 창조해야한다.

 

반응형

투자에 대한 생각 월스트리트가 가장 신뢰한 하워드 막스의 20가지 투자 철학

 

| Pre-reading

 

예상주제 : 가치투자자 하워드막스의 투자철학을 엿볼 수 있는 책

 

독서방법 : 정독

 

저자소개 : 저 : 하워드 막스 (Howard Marks)

월스트리트의 살아 있는 전설이자 가장 저명한 가치 투자자. 1,000억 달러를 운용하는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Oaktree Capital Management)의 회장이자 공동 설립자이다. 2017년 《포브스》 선정 ‘가장 부유한 미국인’(순자산 19억 1,000만 달러)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시장 기회와 리스크에 대해 남다른 통찰력을 가진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가 메모 형식으로 고객들에게 보내는 편지는 날카로운 논평과 오랜 세월에 걸쳐 유효성이 입증된 철학으로 가득하다. 실제로 그의 투자 철학을 정리한 전작 《투자에 대한 생각》은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으며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1995년 오크트리 캐피털을 설립한 이래 회사의 핵심 투자 철학을 고수하고 상품 및 투자 기회에 대해 고객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회사를 경영하는 데 전념해오고 있다.

그는 1985년부터 1995년까지 TCW 그룹에서 부실채권, 하이일드채권 및 전환사채 투자를 총괄했으며, TCW의 미국 채권의 투자 총괄 책임자였다. TCW 그룹에 재직하기 전에는 16년간 시티코프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Citicorp Investment Management)에서 근무했으며,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전환사채 및 하이일드채권을 담당하는 시니어 포트폴리오 매니저이자 부사장이었다. 1969년부터 1978년까지는 주식 리서치 애널리스트로 활동하다가 이후 리서치 부문장으로 부서를 이끌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에서 재무학을 전공했으며, 이후 시카고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회계와 마케팅으로 MBA를 취득했다. CIC(Chartered Investment Counselor)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CFAⓡ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서문 투자에도 철학이 필요하다ㆍ11

가장 중요한 원칙01 심층적으로 생각하라ㆍ15

가장 중요한 원칙02 시장의 효율성을 이해하라ㆍ24

가장 중요한 원칙03 가치란 무엇인가?ㆍ38

가장 중요한 원칙04 가격과 가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라ㆍ51

가장 중요한 원칙05 리스크란 무엇인가?ㆍ62

가장 중요한 원칙06 리스크를 인식하라ㆍ86

가장 중요한 원칙07 리스크를 제어하라ㆍ102

가장 중요한 원칙08 주기에 주의를 기울여라ㆍ116

가장 중요한 원칙09 투자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라ㆍ126

가장 중요한 원칙10 부정적 영향과 맞서라ㆍ137

가장 중요한 원칙11 역투자란 무엇인가?ㆍ155

가장 중요한 원칙12 저가 매수 대상을 찾아라ㆍ169

가장 중요한 원칙13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기다려라ㆍ181

가장 중요한 원칙14 내가 아는 한 가지는 내가 모른다는 것이다ㆍ196

가장 중요한 원칙15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라ㆍ208

가장 중요한 원칙16 행운의 존재를 가볍게 보지 마라ㆍ222

가장 중요한 원칙17 방어적으로 투자하라ㆍ234

가장 중요한 원칙18 보이지 않는 함정을 피하라ㆍ253

가장 중요한 원칙19 부가가치를 창출하라ㆍ275

가장 중요한 원칙20 모든 원칙을 준수하라ㆍ286


| 책 내용 정리

 

투자의 성공은 '좋은자산을 사는 것'이 아니라, '

자산을 잘 사는 것'에서 나온다.

 

가장 중요한 원칙1. 심층적으로 생각하라

 

16 내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 중에 하나는, 일정하고 기계적인 투자전략보다는 직관적이고 유연한 투자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17 나는 시장이나 다른 투자자들보다 높은 수익을 내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라고 생각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운이 됐던, 탁월한 통찰력이 됐든 둘중 하나는 필요하다.

 

 

21 투자자는 자신이 상위 절반에 들어갈 수 있는 마땅한 근거가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봐야한다. 보통의 투자자들보다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장의 예측을 뛰어넘을 수 있어야 한다. 문제는 정확한 판단 아래 남들과 다른 예측을 했을때만 이례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느 것이다.(중략) 다른사람들과 같은 방식으로 투자를 해서는 그들보다 나은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다른 투자자들과 자신을 차별화 하기 위해서는 사고의 내용과 과정이 남달라야한다. (중략) 즉, 다른 투자자들보다 더 현명하게 사고해야 한다. 즉 남드로가 다르면서 남들보다 더 나아가야한다. 이것이 2차적 사고다.

ㅡ남달라야한다.. 밥잘튜터님처럼 통찰력을 길러야한다. 2차적 사고. 꿰뚫어보는 능력.

 

 

 

 

가장 중요한 원칙02. 시장의 효용성을 이해하라

 

 

 

 

가장 중요한 원칙03. 가치란 무엇인가?

 

42 가치투자가 추구하는 것은 저가매수다. 내재가치가 미래에 크게 성장할것 같지 않아도 매수한다. (중략) 가치투자에서는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략) 즉 가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어야만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을 버텨낼 수 있다.

ㅡ오로지 진짜 가치만보고 투자한다..? 투자의 목적은 돈을 벌기 위함인데 왜?

 

가장 중요한 원칙04, 가격과 가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라

 

54 물론 내제가치가 바탕이 되어야 하겠지만 증궈나격은 크게 두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그것은 심리와 기술적 요인이다.

 

61 투자수익을 낼 수 있는 모든 방법들 중에 저가매수가 가장 신뢰할만하다는 말을 위에서 했지만 이조차도 확실한것은 아니다.(중략) 가치보다 싸게 사려는 노력이 실패할때도 있지만,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62 투자는 정확히 한 가지로 이루어진다. 바로 미래를 상대하는 것이다. 문제는 우리누구도 미래에 대해 확실히 알지 못하므로 리스크를 피할 수 없드는 것이다.

그러나 리스크에 확실하게 대처하지 않는다면 장기간 성공하지는 못한다. 그렇기에 첫번째로 해야할일은 리스크를 이해하는것, 인지하는것, 제어하는 것이다.

 

82 리스크란 모두가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것을 바탕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확실히 아니며, 투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많은 2차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에 의해서만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ㅡ리스크는 멘토님, 튜터님들만이 판단할 수 있따. 거인의 어깨

 

 

가장 중요한 원칙5, 리스크란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원칙6. 리스크를 인식하라

90 수익을 창출하는 기회와 마찬가지로 시장에 존재하는 리스크의 정도도 증권, 전략, 기관이 문제가 아니라 참가자의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 시장이 어떤 구조로 설계되었는지와 상관없이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행동할때만 리스크는 낮아질것이다.

 

97 리스크는 투자자들에게 대단히 중요하지만 일시적이고 측정이 불가능하다. 이런 특징 때문에 리스크를 인지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특히 투자자 심리가 고조되어있을때 그렇다. 그러나 우리는 반드시 리스크를 인지해야한다.

 

113 우리는 리스크대비 예상수익이 높을때 그 리스크를 알고도 수용한다.

 

 

 

 

 

가장 중요한 원칙08 주기에 주의를 기울여라

116 투자업계에 오래 있을수록 주기의 중요성을 더욱 인정하게 된다.(중략) 이세상에 주기가 존재하는 근본적 원인은 인간과 관계있다. 대개 인간이 감정적이고 일관되지 못하며 꾸준하지 않고 단순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118 주기는 자기교정적이며 주기의 전환이 꼭 외부 사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주기가 영원히 계속되지 않고 스스로 전환하는 것은 추세가 그렇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무로 성공은 그 자체로 실패의 씨앗을 품고 있으며 실패는 그 자체로 성공의 씨앗을 품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가장 중요한 원칙09 투자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라

127 투자시장은 다음과 같은 시계추의 움직임을 따른다

  • 호황과 침체 사이
  • 긍정적 사건에 반색하는 것과 부정적 사건에 집착하는 것 사이
  • 그러므로 고평가와 저평가 사이

 

131 강세장의 3단계

  1. 소수의 미래 지향적 사람들이 상황이 호전될거라 믿기 시작할때
  2.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실제로 상황이 호전되고 있다는것을 알게 될 때
  3. 모두가 상황이 계속해서 호전될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때

 

132 약세장의 3단계

  1. 소수의 신중한 투자자들이 강세가 만연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언제나 장밋빛일수는 없다는것을 인식할때
  2.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상황이 악화되고 있음을 인식할때
  3. 모든 사람이 상황이 악화될수밖에 없음을 확신할때

ㅡ지금은 약세장으로 가고 있다. 24년 3월 현재 3단계이다. 모두가 하락장인걸 인정하고 있다. 거래가 잘안된다.

 

 

 

 

 

가장 중요한 원칙10 부정적 영향과 맞서라

 

153 내말을 믿어주기 바란다. 다른사람들이 모두 매수하고 있고, 전문가들은 긍정적이며, 그에 대한 근거는 폭넓게 인정되고, 가격은 치솟고 있으며, 가장 큰 리스크를 감수한 사람들이 엄청난 수익을 올린다는 매체의 보도가 나오고 있을때, 고점에서 매수하지 않기란 어렵다.(매도는 더 어렵다) 반대로 저점에서 반대의 상황이 벌어져 보유나 매수가 전손의 리스크를 수반하는것으로 보일때는 매도하지 않는것도 어렵다(매수는 생각조차 힘들다.)

 

찰리멍거가 말했듯이 "원래 쉬운것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원칙09 역투자란 무엇인가?

155 훌륭한 투자를 위해서는 2차적 사고, 즉 다른사람들의 사고방식과는 다른 더 복합적이고 통찰력있는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157 고점은 매수할만한 사람들이 마지막 한 명까지 남김없이 매수했을때 온다.

 

157 따라서 성공투자의 열쇠는 반대로 하는것, 다수와 다른길을 가는데 있다. 다른사람들의 실수를 인지하는 사람들은 역투자를 통해 엄청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 161 투자자 대다수가 공통적으로 갖는 견해중에서 분명한것은 거의 항상 틀린다.

ㅡ저자가 투자는 단순하고도 어렵고 철학적이라고 하는데 너무너무 그말이 공감이 된다. 많은사람이 사면 당연히 가격이 올라가고 그럼 가격이 가치보다 비싸지고 그러니까 투자는 외로운거고.. 생각해보면 너무 단순한건데 어렵다.

 

 

162 모두가 최고의 선택이라고 말하는 투자는, 모두가 라는 말때문에 절대로 최고가 될 수 없다.

ㅡ같은 맥락이다. 소름끼치는 부분이다. 모두가 좋다고 하는 투자는 절대로 좋은투자가 될수없다. 역투자라는 챕터에서 말하는 핵심메세지인것같다.

 

163 따라서 모두가 좋아하는것을 매임해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모두가 과소평가하는 것을 매입해야 큰돈을 번다.

그래서 성공적인 투자자들은 고독한길을 오랫동안 혼자 걷는다고 말한다.

ㅡ남과 달리가야하니 투자자는 외로울수밖에 없다. 남과 다른 의견을 가질수밖에 없고… 그래서 함께하는 동료가 중요하다.

 

165 미래를 대비할때 우리는 다음의 두가지에 대해 생각해봐야한다. 즉, 어떤일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 이링 일어날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하는 점이다.

 

 

 

 

가장 중요한 원칙12 저가매수 대상을 찾아라

173 과열을부추기는 자산과 달리 잠재적으로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자산들은 대체로 객관적인 결점을 드러낸다.

 

 

 

 

 

가장 중요한 원칙13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기다려라

 

181 상황에 따라 아무것도 안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수도 있다.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즉 저가매수를 기다리는 것이 최고의 전략이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 한가지 요령이 있다. 투자 대상을 뒤쫓는것보다, 투자대상이 당신 눈앞에 나타날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어떤 자산을 매입해야겠다고 처음부터 정해놓지 말고 매도자가 팔아야겠다고 한것에서 자산을 고른다면 더 싸게 살 수 있다.

ㅡ너바나님께서 자기가 잘치는공만 친다고 했던것...이거였음..

 

184 투자는 아웃되지 않기 위해 꼭 방망이를 휘두를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가장 좋은 사업이다. 방망이를 한쪽어깨에 걸친채 홈플레이트에 서있는 것은 버핏식의 인내하는 기회주의다.

ㅡ투자는 내가 원할때 할 수 있다는것이 장점이다. 실력만 있다면(밥잘튜터님, 너나위님)

 

 

 

 

 

가장 중요한 원칙14 내가 아는 한가지는 내가 모르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원칙15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라

208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는 전혀 알 수 없어도 우리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는 잘 알고 있어야 한다

 

209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미래를 알 수 없음을 인정하고 단념하고서 주기를 그냥 무시하는 것이다 주기를 예측하려고 노력하는 대신, 우량투자를 해서 이를 계속 보유하면 된다.

ㅡ언제쯤 수도권이 바닥이고 언제쯤 지방이 오를거야.. 공급을 기준으로라도 예측하려고 했던것이 실수였구나.

 

 

 

 

가장 중요한 원칙17 방어적으로 투자하라

 

237 투자의 특징(스포츠와 유사하다)

  1. 경쟁적이다.
  2.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3. 실력위주다
  4. 단체지향적이다
  5. 만족스러울수있ㄱ 즐길 수 있다.

 

나는 전반적으로 투자가 스포츠와 매우 비슷하며, 그에 요구되는 결정들도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 241 방어란 무엇인가? 방어적인 투자자가 중점을 두는 것은 잘못된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

옳은 일을 하는것과 잘못된 일을 하지 않는것 사이에 차이가 있다. 그에 따르는 전술간에더 큰 차이가 잇다. 방어가 나쁜 결과를 피하는것 정도로만 들릴수도 있지만, 사실 그정도로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이지 않다. 방어는 플러스요소를 포함하기보다는 마이너스 요소를 배제하고, 간헐적인 기지의 번뜩임보다는 일관되지만 적당한 프로세스를 통해 더 큰 수익에 도전하는것으로 볼 수 있다.

 

 

245 수익을 위해 애쓰는것과 리스크를 제한하는 것 사이에, 즉 공격과 방어 사이에 의도적인 균형이 이루어져야한다.

 

19 부가가치를 창출하라

이 장의 목적은 실력있는 투자자들에게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것이 어떤의미가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 깨달은 점

반년전인 23년 9월 투자처를 찾지 못해서 힘들어하던 시기에 답을 좀 찾아보고자 처음 읽었던 책이다. 사실 그때는 이 책이 너무 어려워서 다 읽지 못했다. 그리고 반년동안 월부학교를 하면서 투자를 했고 성장의 시기를 보낸 뒤 읽으니 절반정도는 읽혔던것 같다. 이책이 그만큼 어렵다. 투자의 원칙을 이야기하는 책이니만큼 고전적 내용들이라 정말 투자자의 실력만큼 보이는 책이 아닐까 싶다.

이번에 이 책을 읽고 꽤 많은것들에 무릎을 탁 쳤지만, 가장 임팩트 있게 다가온 두가지 느낀점을 꼽아보았다.

첫째, 투자자는 심플하고도 어렵다.

원칙9 역투자, 원칙8 주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정말 많이 와닿았다. 인간의 심리에 의해 주기가 생기고 인간의 감정적 판단, 군중심리, 확증편향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다는것. 예상치 못한 리스크를 배제하고 이런 것들만 보더라도 언제 추세가 꺾이고 올라갈지 너무나 당연한 원리인것처럼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 사실은 듣는것처럼, 이론처럼 흘러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투자는 참 심플한 원칙을 갖고 있으면서도 어려운것 같다.

둘째, 투자자는 외로울수밖에 없다.

저자는 남과 다른 2차적사고와 역투자를 통해서만 투자수익을 올릴수 있다고 했다. 주변 사람들의 의견과 반대로 가고, 그들의 투자패턴과 반대로 가면서 수익을 올려야하는 투자자는 고독할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주변에 함께하는 동료들이 정말중요한것 같다. 22년말~23년초 매매가가 전세가와 함께 그야말로 폭락했을때, 나또한 많은 사람들처럼 무서웠다. 가치있는 자산이 싸지고 있는건 알았지만 내자산이 흘러내리고 있는것밖에 안보였다. 그당시엔.. 이렇게 시장이 겁에 질려있을때 대중과 달리 생각하기란 쉽지 않은것 같다. 다수의 군중이 같은 이야기를 할 때 홀로 반대의견을 말하기란 쉽지 않다.

내가 투자자로 살아가면서 이책을 50번은 더 읽을것 같다. 그만큼 깊은 철학이 담긴 책인것 같고 아직 나는 10%밖에 받아들이지 못한것 같다.

 

 

 

| 적용할 점

- 투자에서 늘 적용 가능한 규칙이란 없다. 항상 기계화,일반화 하려고 하지 말자.

 

 

 

 

 

| After -reading

 

KEY WORD : 투자라는 학문에 대한 원칙을 설명하는 원서

 

원메세지 : 투자는 단순하고도 어렵고 철학적이다. 이 원칙들을 모두 지켜라.

 

 

 

 

반응형

투자에 대한 생각 월스트리트가 가장 신뢰한 하워드 막스의 20가지 투자 철학

 

| Pre-reading

 

예상주제 : 가치투자자 하워드막스의 투자철학을 엿볼 수 있는 책

 

독서방법 : 정독

 

저자소개 : 저 : 하워드 막스 (Howard Marks)

월스트리트의 살아 있는 전설이자 가장 저명한 가치 투자자. 1,000억 달러를 운용하는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Oaktree Capital Management)의 회장이자 공동 설립자이다. 2017년 《포브스》 선정 ‘가장 부유한 미국인’(순자산 19억 1,000만 달러)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시장 기회와 리스크에 대해 남다른 통찰력을 가진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가 메모 형식으로 고객들에게 보내는 편지는 날카로운 논평과 오랜 세월에 걸쳐 유효성이 입증된 철학으로 가득하다. 실제로 그의 투자 철학을 정리한 전작 《투자에 대한 생각》은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으며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1995년 오크트리 캐피털을 설립한 이래 회사의 핵심 투자 철학을 고수하고 상품 및 투자 기회에 대해 고객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회사를 경영하는 데 전념해오고 있다.

그는 1985년부터 1995년까지 TCW 그룹에서 부실채권, 하이일드채권 및 전환사채 투자를 총괄했으며, TCW의 미국 채권의 투자 총괄 책임자였다. TCW 그룹에 재직하기 전에는 16년간 시티코프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Citicorp Investment Management)에서 근무했으며, 1978년부터 1985년까지 전환사채 및 하이일드채권을 담당하는 시니어 포트폴리오 매니저이자 부사장이었다. 1969년부터 1978년까지는 주식 리서치 애널리스트로 활동하다가 이후 리서치 부문장으로 부서를 이끌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와튼스쿨에서 재무학을 전공했으며, 이후 시카고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회계와 마케팅으로 MBA를 취득했다. CIC(Chartered Investment Counselor)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CFAⓡ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서문 투자에도 철학이 필요하다ㆍ11

가장 중요한 원칙01 심층적으로 생각하라ㆍ15

가장 중요한 원칙02 시장의 효율성을 이해하라ㆍ24

가장 중요한 원칙03 가치란 무엇인가?ㆍ38

가장 중요한 원칙04 가격과 가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라ㆍ51

가장 중요한 원칙05 리스크란 무엇인가?ㆍ62

가장 중요한 원칙06 리스크를 인식하라ㆍ86

가장 중요한 원칙07 리스크를 제어하라ㆍ102

가장 중요한 원칙08 주기에 주의를 기울여라ㆍ116

가장 중요한 원칙09 투자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라ㆍ126

가장 중요한 원칙10 부정적 영향과 맞서라ㆍ137

가장 중요한 원칙11 역투자란 무엇인가?ㆍ155

가장 중요한 원칙12 저가 매수 대상을 찾아라ㆍ169

가장 중요한 원칙13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기다려라ㆍ181

가장 중요한 원칙14 내가 아는 한 가지는 내가 모른다는 것이다ㆍ196

가장 중요한 원칙15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라ㆍ208

가장 중요한 원칙16 행운의 존재를 가볍게 보지 마라ㆍ222

가장 중요한 원칙17 방어적으로 투자하라ㆍ234

가장 중요한 원칙18 보이지 않는 함정을 피하라ㆍ253

가장 중요한 원칙19 부가가치를 창출하라ㆍ275

가장 중요한 원칙20 모든 원칙을 준수하라ㆍ286


| 책 내용 정리

 

투자의 성공은 '좋은자산을 사는 것'이 아니라, '

자산을 잘 사는 것'에서 나온다.

 

가장 중요한 원칙1. 심층적으로 생각하라

 

16 내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 중에 하나는, 일정하고 기계적인 투자전략보다는 직관적이고 유연한 투자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17 나는 시장이나 다른 투자자들보다 높은 수익을 내는 것이 성공적인 투자라고 생각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운이 됐던, 탁월한 통찰력이 됐든 둘중 하나는 필요하다.

 

 

21 투자자는 자신이 상위 절반에 들어갈 수 있는 마땅한 근거가 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봐야한다. 보통의 투자자들보다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시장의 예측을 뛰어넘을 수 있어야 한다. 문제는 정확한 판단 아래 남들과 다른 예측을 했을때만 이례적인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느 것이다.(중략) 다른사람들과 같은 방식으로 투자를 해서는 그들보다 나은 성과를 기대할 수 없다. 다른 투자자들과 자신을 차별화 하기 위해서는 사고의 내용과 과정이 남달라야한다. (중략) 즉, 다른 투자자들보다 더 현명하게 사고해야 한다. 즉 남드로가 다르면서 남들보다 더 나아가야한다. 이것이 2차적 사고다.

ㅡ남달라야한다.. 밥잘튜터님처럼 통찰력을 길러야한다. 2차적 사고. 꿰뚫어보는 능력.

 

 

 

 

가장 중요한 원칙02. 시장의 효용성을 이해하라

 

 

 

 

가장 중요한 원칙03. 가치란 무엇인가?

 

42 가치투자가 추구하는 것은 저가매수다. 내재가치가 미래에 크게 성장할것 같지 않아도 매수한다. (중략) 가치투자에서는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략) 즉 가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어야만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을 버텨낼 수 있다.

ㅡ오로지 진짜 가치만보고 투자한다..? 투자의 목적은 돈을 벌기 위함인데 왜?

 

가장 중요한 원칙04, 가격과 가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라

 

54 물론 내제가치가 바탕이 되어야 하겠지만 증궈나격은 크게 두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다. 그것은 심리와 기술적 요인이다.

 

61 투자수익을 낼 수 있는 모든 방법들 중에 저가매수가 가장 신뢰할만하다는 말을 위에서 했지만 이조차도 확실한것은 아니다.(중략) 가치보다 싸게 사려는 노력이 실패할때도 있지만,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62 투자는 정확히 한 가지로 이루어진다. 바로 미래를 상대하는 것이다. 문제는 우리누구도 미래에 대해 확실히 알지 못하므로 리스크를 피할 수 없드는 것이다.

그러나 리스크에 확실하게 대처하지 않는다면 장기간 성공하지는 못한다. 그렇기에 첫번째로 해야할일은 리스크를 이해하는것, 인지하는것, 제어하는 것이다.

 

82 리스크란 모두가 이구동성으로 말하는 것을 바탕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은 확실히 아니며, 투자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많은 2차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에 의해서만 판단될 수 있는 것이다.

ㅡ리스크는 멘토님, 튜터님들만이 판단할 수 있따. 거인의 어깨

 

 

가장 중요한 원칙5, 리스크란 무엇인가

 

 

 

 

가장 중요한 원칙6. 리스크를 인식하라

90 수익을 창출하는 기회와 마찬가지로 시장에 존재하는 리스크의 정도도 증권, 전략, 기관이 문제가 아니라 참가자의 행동에 의해 결정된다. 시장이 어떤 구조로 설계되었는지와 상관없이 투자자들이 신중하게 행동할때만 리스크는 낮아질것이다.

 

97 리스크는 투자자들에게 대단히 중요하지만 일시적이고 측정이 불가능하다. 이런 특징 때문에 리스크를 인지하기가 매우 어려운데 특히 투자자 심리가 고조되어있을때 그렇다. 그러나 우리는 반드시 리스크를 인지해야한다.

 

113 우리는 리스크대비 예상수익이 높을때 그 리스크를 알고도 수용한다.

 

 

 

 

 

가장 중요한 원칙08 주기에 주의를 기울여라

116 투자업계에 오래 있을수록 주기의 중요성을 더욱 인정하게 된다.(중략) 이세상에 주기가 존재하는 근본적 원인은 인간과 관계있다. 대개 인간이 감정적이고 일관되지 못하며 꾸준하지 않고 단순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118 주기는 자기교정적이며 주기의 전환이 꼭 외부 사건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주기가 영원히 계속되지 않고 스스로 전환하는 것은 추세가 그렇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무로 성공은 그 자체로 실패의 씨앗을 품고 있으며 실패는 그 자체로 성공의 씨앗을 품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가장 중요한 원칙09 투자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라

127 투자시장은 다음과 같은 시계추의 움직임을 따른다

  • 호황과 침체 사이
  • 긍정적 사건에 반색하는 것과 부정적 사건에 집착하는 것 사이
  • 그러므로 고평가와 저평가 사이

 

131 강세장의 3단계

  1. 소수의 미래 지향적 사람들이 상황이 호전될거라 믿기 시작할때
  2.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실제로 상황이 호전되고 있다는것을 알게 될 때
  3. 모두가 상황이 계속해서 호전될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때

 

132 약세장의 3단계

  1. 소수의 신중한 투자자들이 강세가 만연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언제나 장밋빛일수는 없다는것을 인식할때
  2.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상황이 악화되고 있음을 인식할때
  3. 모든 사람이 상황이 악화될수밖에 없음을 확신할때

ㅡ지금은 약세장으로 가고 있다. 24년 3월 현재 3단계이다. 모두가 하락장인걸 인정하고 있다. 거래가 잘안된다.

 

 

 

 

 

가장 중요한 원칙10 부정적 영향과 맞서라

 

153 내말을 믿어주기 바란다. 다른사람들이 모두 매수하고 있고, 전문가들은 긍정적이며, 그에 대한 근거는 폭넓게 인정되고, 가격은 치솟고 있으며, 가장 큰 리스크를 감수한 사람들이 엄청난 수익을 올린다는 매체의 보도가 나오고 있을때, 고점에서 매수하지 않기란 어렵다.(매도는 더 어렵다) 반대로 저점에서 반대의 상황이 벌어져 보유나 매수가 전손의 리스크를 수반하는것으로 보일때는 매도하지 않는것도 어렵다(매수는 생각조차 힘들다.)

 

찰리멍거가 말했듯이 "원래 쉬운것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원칙09 역투자란 무엇인가?

155 훌륭한 투자를 위해서는 2차적 사고, 즉 다른사람들의 사고방식과는 다른 더 복합적이고 통찰력있는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157 고점은 매수할만한 사람들이 마지막 한 명까지 남김없이 매수했을때 온다.

 

157 따라서 성공투자의 열쇠는 반대로 하는것, 다수와 다른길을 가는데 있다. 다른사람들의 실수를 인지하는 사람들은 역투자를 통해 엄청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 161 투자자 대다수가 공통적으로 갖는 견해중에서 분명한것은 거의 항상 틀린다.

ㅡ저자가 투자는 단순하고도 어렵고 철학적이라고 하는데 너무너무 그말이 공감이 된다. 많은사람이 사면 당연히 가격이 올라가고 그럼 가격이 가치보다 비싸지고 그러니까 투자는 외로운거고.. 생각해보면 너무 단순한건데 어렵다.

 

 

162 모두가 최고의 선택이라고 말하는 투자는, 모두가 라는 말때문에 절대로 최고가 될 수 없다.

ㅡ같은 맥락이다. 소름끼치는 부분이다. 모두가 좋다고 하는 투자는 절대로 좋은투자가 될수없다. 역투자라는 챕터에서 말하는 핵심메세지인것같다.

 

163 따라서 모두가 좋아하는것을 매임해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모두가 과소평가하는 것을 매입해야 큰돈을 번다.

그래서 성공적인 투자자들은 고독한길을 오랫동안 혼자 걷는다고 말한다.

ㅡ남과 달리가야하니 투자자는 외로울수밖에 없다. 남과 다른 의견을 가질수밖에 없고… 그래서 함께하는 동료가 중요하다.

 

165 미래를 대비할때 우리는 다음의 두가지에 대해 생각해봐야한다. 즉, 어떤일이 일어날 수 있으며 그 이링 일어날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하는 점이다.

 

 

 

 

가장 중요한 원칙12 저가매수 대상을 찾아라

173 과열을부추기는 자산과 달리 잠재적으로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자산들은 대체로 객관적인 결점을 드러낸다.

 

 

 

 

 

가장 중요한 원칙13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기다려라

 

181 상황에 따라 아무것도 안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일수도 있다.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기다리는 것이, 즉 저가매수를 기다리는 것이 최고의 전략이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 한가지 요령이 있다. 투자 대상을 뒤쫓는것보다, 투자대상이 당신 눈앞에 나타날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어떤 자산을 매입해야겠다고 처음부터 정해놓지 말고 매도자가 팔아야겠다고 한것에서 자산을 고른다면 더 싸게 살 수 있다.

ㅡ너바나님께서 자기가 잘치는공만 친다고 했던것...이거였음..

 

184 투자는 아웃되지 않기 위해 꼭 방망이를 휘두를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가장 좋은 사업이다. 방망이를 한쪽어깨에 걸친채 홈플레이트에 서있는 것은 버핏식의 인내하는 기회주의다.

ㅡ투자는 내가 원할때 할 수 있다는것이 장점이다. 실력만 있다면(밥잘튜터님, 너나위님)

 

 

 

 

 

가장 중요한 원칙14 내가 아는 한가지는 내가 모르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원칙15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라

208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는 전혀 알 수 없어도 우리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는 잘 알고 있어야 한다

 

209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미래를 알 수 없음을 인정하고 단념하고서 주기를 그냥 무시하는 것이다 주기를 예측하려고 노력하는 대신, 우량투자를 해서 이를 계속 보유하면 된다.

ㅡ언제쯤 수도권이 바닥이고 언제쯤 지방이 오를거야.. 공급을 기준으로라도 예측하려고 했던것이 실수였구나.

 

 

 

 

가장 중요한 원칙17 방어적으로 투자하라

 

237 투자의 특징(스포츠와 유사하다)

  1. 경쟁적이다.
  2.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3. 실력위주다
  4. 단체지향적이다
  5. 만족스러울수있ㄱ 즐길 수 있다.

 

나는 전반적으로 투자가 스포츠와 매우 비슷하며, 그에 요구되는 결정들도 매우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 241 방어란 무엇인가? 방어적인 투자자가 중점을 두는 것은 잘못된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

옳은 일을 하는것과 잘못된 일을 하지 않는것 사이에 차이가 있다. 그에 따르는 전술간에더 큰 차이가 잇다. 방어가 나쁜 결과를 피하는것 정도로만 들릴수도 있지만, 사실 그정도로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이지 않다. 방어는 플러스요소를 포함하기보다는 마이너스 요소를 배제하고, 간헐적인 기지의 번뜩임보다는 일관되지만 적당한 프로세스를 통해 더 큰 수익에 도전하는것으로 볼 수 있다.

 

 

245 수익을 위해 애쓰는것과 리스크를 제한하는 것 사이에, 즉 공격과 방어 사이에 의도적인 균형이 이루어져야한다.

 

19 부가가치를 창출하라

이 장의 목적은 실력있는 투자자들에게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것이 어떤의미가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 깨달은 점

반년전인 23년 9월 투자처를 찾지 못해서 힘들어하던 시기에 답을 좀 찾아보고자 처음 읽었던 책이다. 사실 그때는 이 책이 너무 어려워서 다 읽지 못했다. 그리고 반년동안 월부학교를 하면서 투자를 했고 성장의 시기를 보낸 뒤 읽으니 절반정도는 읽혔던것 같다. 이책이 그만큼 어렵다. 투자의 원칙을 이야기하는 책이니만큼 고전적 내용들이라 정말 투자자의 실력만큼 보이는 책이 아닐까 싶다.

이번에 이 책을 읽고 꽤 많은것들에 무릎을 탁 쳤지만, 가장 임팩트 있게 다가온 두가지 느낀점을 꼽아보았다.

첫째, 투자자는 심플하고도 어렵다.

원칙9 역투자, 원칙8 주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정말 많이 와닿았다. 인간의 심리에 의해 주기가 생기고 인간의 감정적 판단, 군중심리, 확증편향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다는것. 예상치 못한 리스크를 배제하고 이런 것들만 보더라도 언제 추세가 꺾이고 올라갈지 너무나 당연한 원리인것처럼 고개를 끄덕이게 되지만 사실은 듣는것처럼, 이론처럼 흘러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투자는 참 심플한 원칙을 갖고 있으면서도 어려운것 같다.

둘째, 투자자는 외로울수밖에 없다.

저자는 남과 다른 2차적사고와 역투자를 통해서만 투자수익을 올릴수 있다고 했다. 주변 사람들의 의견과 반대로 가고, 그들의 투자패턴과 반대로 가면서 수익을 올려야하는 투자자는 고독할수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주변에 함께하는 동료들이 정말중요한것 같다. 22년말~23년초 매매가가 전세가와 함께 그야말로 폭락했을때, 나또한 많은 사람들처럼 무서웠다. 가치있는 자산이 싸지고 있는건 알았지만 내자산이 흘러내리고 있는것밖에 안보였다. 그당시엔.. 이렇게 시장이 겁에 질려있을때 대중과 달리 생각하기란 쉽지 않은것 같다. 다수의 군중이 같은 이야기를 할 때 홀로 반대의견을 말하기란 쉽지 않다.

내가 투자자로 살아가면서 이책을 50번은 더 읽을것 같다. 그만큼 깊은 철학이 담긴 책인것 같고 아직 나는 10%밖에 받아들이지 못한것 같다.

 

 

 

| 적용할 점

- 투자에서 늘 적용 가능한 규칙이란 없다. 항상 기계화,일반화 하려고 하지 말자.

 

 

 

 

 

| After -reading

 

KEY WORD : 투자라는 학문에 대한 원칙을 설명하는 원서

 

원메세지 : 투자는 단순하고도 어렵고 철학적이다. 이 원칙들을 모두 지켜라.

 

 

 

 

반응형

[먀먀둥이 독서후기] 불변의 법칙 - 모건 하우절

 

| Pre-reading

예상주제 :

독서방법 : 정독

저자소개 : 저 : 모건 하우절 (Morgan Housel)

전 <월스트리트저널The Wall Street Journal> 기자. 현재 미국 최고의 경제 매거진이자 팟캐스트 <모틀리풀The Motley Fool>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벤처캐피털사 콜라보레이티브 펀드Collaborative Fund의 파트너이기도 하다.

미국 비즈니스 편집자 및 작가 협회에서 수여하는 최우수 비즈니스상Best in Business Award과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의 시드니상Sidney Award을 두 차례 수상했다.

비즈니스와 금융 분야의 가장 뛰어난 기자에게 수여하는 제럴드 롭상Gerald Loeb Award 금융 저널리즘 부문 최종 후보에 두 번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지난 13년간 날카로운 통찰력과 유려한 글솜씨를 발휘하여 금융과 재정에 대한 다양한 글을 블로그와 트위터에 올렸고, 이에 수많은 열성팬을 거느리고 있다.

‘소설가의 기술을 가진 금융 작가’ ‘어려운 이야기를 동화처럼 들려주는 투자 멘토’ 등의 찬사를 받으며 돈과 투자에 대한 편향을 일깨우고 있다. 특히 2018년 그가 블로그에 올린 보고서 ‘돈의 심리학’은 1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의 열띤 호응을 얻었다.

돈을 다룰 때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잘못된 행동 원인, 편향, 결함 중 가장 중요한 20가지를 골라 정리한 그 보고서는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에 하우절은 관련 주제를 더욱 깊이 연구하고 확장시켜 한 권의 책으로 발전시켰다.

그렇게 탄생한 첫 책 《돈의 심리학》은 출간 전부터 월스트리트저널의 찬사를 받으며 단번에 아마존 투자 분야 1위에 올라섰고, 출간 후 수개월이 지난 지금도 투자 분야 상위권을 지키고 있다.

 

 


| 책 내용 정리

불변의 법칙 절대 변하지 않는 것들에 대한 23가지 이야기

 

1장에서는 미래에 어떤일이 생길지 절대로 예상할 수 없지만 변하지 않는것이 있다고 말한다.

 

2장에서는 리스크란 모든걸 다 준비해도 결국 내가 생각치못한 상상도 못한것에서 발생한다고 말한다.

 

3장에서는 사람들은 1950년대보다 남과 비교하며 기대치를 높이기때문에 불행하다고 말한다.

 

4장에서는 엄청난 성취를 이루는 사람들에게는 엄청난 실패를 가져올 수 있는 리스크적 부분이 있다고 말하며 롤모델을 찾을때 주의하라고 한다.

5장 확률과 확실성에서는, 사람들은 확실성을 추구하지만 사실은 예측불가능한 영역이 많다고 말한다.

 

6장 '뛰어난 스토리가 승리한다' 에서는, 같은 이야기도 스토리로, 필력으로 풀어내 사람들을 사로잡아야한다고 말한다.

 

7장 '통계가 놓치는것'에서는 측정할 수 없는 것들이 무엇보다 큰 영향력을 지닌다고 말한다.

 

8장 평화가 혼돈을 낳는다에서는, 2020년 평온할때 코로나19가 찾아와 사람들이 정신을 못차렸을때를 예로들며 사람들은 과거3년의 경험이 계속될것이라 믿는다고 말한다. 그래서 편안할때 경계심을 가져야한다.

 

9장 더 많이, 더 빨리에서는, 인내심과 희소성을 가진 것이야말로 가치있는 무언가가 된다고 하며 조급함을 경계하라고 조언한다.

 

10장 마법이 일어나는 순간에서는,

 

11장 비극은 수식간이고, 기적은 오래걸린다에서는, 기적이 점진적으로 쌓이고 있음을 알라고 이야기한다.

 

12장 사소한것과 거대한 결과 에서는, 오랜시간에 걸쳐 쌓인 작은 변화가 엄청난 변화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최고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야한다고 한다.

 

13장 희망 그리고 절망에서는,

14장 완벽함의 함정에서는 약간의 불완전함이 오히려 유용하다고 말한다.

15장 모든 여정은 원래 힘들다 에서는, 지름길을 경계하라고 말하며 원래 힘든게 당연하다고 말한다.

16장 계속 달려라 에서는, 안주하지말고 제자리라도 지키려면 계속해서 같은 노력을 지속해야한다고 말한다.


 

21 변하지 않는 것들은 중요하다. 그것을 알면 확신을 갖고 미래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ㅡ앞으로 어떻게 가격이 변할지, 입지가 변할지를 알려하기보다, 변하지않는 입지의 가치, 땅의가치, 사람들의 심리를 파악하는게 더 중요하다.

 

41 앞으로 50년뒤에 세상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는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때도 여전히 사람들이 탐욕과 두려움에 지배당하고, 기회와 리스크, 불확실성, 집단 소속감, 사회적설득에 반응할것이라는 사실은 장담할 수 있다.

 

 

92 엄청난 성취를 이뤄내는 사람은 엄청난 실패를 가져올수 있는 리스크를 감수하곤 한다. 그 두모습을 분리할수는 없다. 그둘은 리스크와 수익의 트레이드오프관계와 비슷하다.

 

★ 122 사람들은 늘 바쁘다. 또 감정에 쉽게 좌우된다. 따라서 언제나 훌륭한 스토리가 차디찬 통계자료보다 더 큰 설득력을 발휘한다.

당신이 옳은답을 갖고 있다면 당신은 성공할수도 있고 실패할 수도 있다.

당신이 틀린답을 갖고 있지만 뛰어난 스토리텔러라면 (당분간은)성공할 가능성이 크다.

당신이 옳은답을 갖고 있으면서 동시에 뛰어난 스토리텔러라면 성공할 가능성은 거의 100%다.

지금까지 늘 그래왔고, 앞으로도 그럴것이다. 역사에는 그런사례가 부지기수다.

 

 

130 완벽한 세상에서라면 정보의 중요성이 그 정보 전달자의 스토리텔링능력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 사람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인내심이 부족하며 감정에 쉽게 지배당하고 복잡한 정보가 마치 스토리의 한장면처럼 이해하기 쉬워지기를 원한다.

 

136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만드느냐가 중요한게 아니다. '어떻게'말하고 '어떻게 '전달하느냐가 중요하다.

 

141 통계가 놓치는것(측정할 수 없는 것들이 세상을 움직인다.)

하지만 인간이 내리는 대부분의 결정은 그런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인간은 수치화해서 설명하기 힘든 특성을 지닌 존재이다. 그래서 때로는 원래 설정한 목표와 아무런 관련이 없어 보이는 행동을 한다. 하지만 수치화하기 힘든 그 특성이 무엇보다 큰 영향력을 지닌다.

 

144 세상의 어떤것들은 중요함에도 측정이 불가능하다. 수치화가 불가능하거나 대단히 어렵다. 하지만 그런것이 결과를 엄청나게 좌우하곤 한다. 수치화할 수 없어서 사람들이 중요성을 간과하거나 심지어 그것의 존재자체를 부인하기 때문이다.

 

★ 149 뇌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우리의 생존을 돕는 것이다. 따라서 마치 자동차의 속도제한 장치처럼, 뇌는 몸이 성능을 최대치로 발휘해야 할 만큼 중요도나 위험이 충분히 높은 상황이 아닌한, 그 최대치를 발휘하게 놔두지 않는다. (중략) 운동선수를 압박감과 리스크, 인센티브가 동시에 복잡하게 작용하는 실제 경기에 투입하기 전까지는 그의 진짜 역량을 알 수 없다. 이런 환경은 실험실에서 똑같이 재현할 수 없다.

ㅡ그래서 인간은 극한의 상황에서 능력치가 최대가 된다. 죽음의 수용소에서에서 '정신이 육체를 지배한다'고 했다. 그래서 월부학교라는 환경에서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다.

217좋은일은 작고 점진적인 변화가 쌓여 일어나므로 시간이 걸리지만, 나쁜 일은 갑작스러운 신뢰 상실이나 눈깜짝할 새에 발생한 치명적 실수탓에 일어난다. 좋은 일은 시간이 걸리지만 나쁜일은 순식간에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워런버핏은 평판을 쌓는데는 20년이 걸리지만 ㄱ것이 무너지느데는 5분이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세상의 많은 일이 그렇다.

 

★ 273 이는 인생에 꼭 필요한 능력중 하나다. 고통을 피해갈 쉬운 해결책이나 지름길부터 찾기보다는 필요한때에 고통을 참아내는 능력 말이다. (중략) 우리는 빠르고 쉬운길에 혹하기 쉽다. 고생하지 않고 성공할 수 있을것 같으니까. 하지만 실제로 그런 길은 거의 없다. 찰리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원하는것을 얻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것을 누릴 자격을 갖춘 사람이 되는 것이다.

 

279 우리가 놓치기 쉬운 사실이 있다. 문제를 완전히 없애려고 하면 오히려 문제가 더 커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대개 나쁜 것을 어느정도 수용하는 것이 완벽하게 없애는 것보다 나을 수 있음을 안다. 도둑질이 좋은 예따.

 

298 제자리라도 지키려면 '계속 달려야 하는것', 그것이 진화의 원리다. 삶에서 대부분의 것도 그렇지 않을까? 비지니스도 제품도? 일도? 국가도? 인간관계도 맞다. 전부 그렇다.

진화는 가차 없고 냉혹하다 .앞서가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뒤처지는 것을 멸종시킴으로써 가르침을 준다.

299 계속 달려라 이미 거둔 성공에 마음 놓고 안주해도 될 만큼 확실한 경쟁우위란 없다. 오히려 그렇게 보이는 경쟁우위가 대개는 몰락의 씨앗을 품고 있다.

 

 


 

| 깨달은 점

추천서에서 말하는것처럼 정말 한챕터 한챕터가 너무나 좋았다. 저자가 품고 있는 핵심 메세지들이 너무 통찰력 깊었다. 초독에서 가장 감명깊었던 내용들을 정리해보려 한다.

6장 '뛰어난 스토리가 승리한다' 챕더가 많이 와닿았다. 나에게 '스토리'가 없기 때문이다. 스토리가 없으면 성공할수 없다고 한다. 나도 이게 필요한걸 알고 있다.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도 내가 어떻게 표현하느냐(나의 스토리를 곁들인다거나, 나만의 매력적인 필력으로 써내려간다거나) 에 따라 성공할수도 아무도 보지 않을수도 있다는것이다. 마니님이 생각났다. 글을 읽게만드는 마니님의 힘이 있다. 나는? 모르겠다. 계발해야할점이다. 같은 이야기라도 어떻게 말하냐에 따라 사람들을 집중시킬 수 있다. 사람들을 집중시키려면 그들이 원하는걸 알아야한다. 그들은 복잡한걸 단순한 스토리로 적어낸것을 원한다. 글을 쓸때, 내의견을 전달할때 이렇게 해야한다. (원하는걸 주라)

 

14장, 15장 원래힘들다, 계속달려라 챕터가 와닿았다. 2년반만에 처음으로 처음으로 브레이크를 살짝 밟았기 때문에 찔려서일까. 내가 많이 알게되었다 생각하지말고 계속해서 원래속도로 달려야한다고 말한다. 그래 성장과 성공은 그런거야!

 

| 적용할 점

ㅡ뛰어난 필력이 매력인 사람이 되자. 내 글을 읽고 싶어하도록 !

찰리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원하는것을 얻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것을 누릴 자격을 갖춘 사람이 되는 것이다.

 

 

 

 

| After -reading

 

KEY WORD : 불변의 법칙

 

원메세지 : 변하지 않는 세상의 원칙을 알고 지켜나가자

반응형

부자와 가난한자의 일차적인 차이점은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전적으로 이기지 못하는 ㅠ는 돈을 잃어서 느끼는 고통이 부자가 되어서 얻는 즐거움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 키워드

새앙쥐 레이스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금융에 대한 무지

실패를 향한 바람직한 태도

 

 

✅느낀점

너바나님이 100% 공감한다고 하시는 책이기에, 책을 읽는 내내 열반스쿨과 그동안 월부에서 배운 투자와 부에 대한 생각들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오랜만에 읽을때마다 소름이 돋을정도의 인사이트를 느낄 수 있었던 책이다.

1.첫째로는 돈에 대해 공부하지 않을경우 대부분의 사람이 어떻게 사는지, 어떤생각을 하면서 사는지 알려주는 부분이 인상깊었다. 나와 내 부모님이 살았던 삶이고 가지고 있었던 생각 그대로였기 때문이다.

​2.둘째로는 부자아빠가 돈을 주지 않고 일하게 한 이유는 '부자들은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라는 교훈을 주기 위함이였음에 소름이 돋았다.

3.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알고 오로지 자산만을 구입해야한다는 첫번째 규칙을 이해하고 알게되었다는 사실에 감사와 안도의 마음이 들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단순한 것'을 죽을때까지 이해하지 못하고 죽기 때문이다.

4.자산을 사고 부채를 줄이는것이 부자가 되는 핵심이다. 많은사람들이 모르고 있는 금융지식을 월부에서 배우고 공부하면서 나도 모르게 현실화된 부분들이 많아서 놀라웠다. 굳이 이책을 이해하려 하지 않아도 내가 하는 행동들이 부자아빠의 가르침과 유사한 부자들의 현금흐름 시스템이였다. 감사합니다..

5.Chapter7에서 '실패를 향한 바람직한 태도'를 알려주었는데, 지금 내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것을 깨닫고, 실패하더라도 배움의 기회로 삼아야한다는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다.

6.마지막으로 '뭔가를 원한다면 먼저 줘야한다'라는 가르침은 소름이 돋았다. 호혜의 원칙을 믿는 것이 부자의 태도였다.

 

 

✅적용할점

-투자에서 결단력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기회는 왔다가도 가는것.​

​-집으로 가져오면 가치가 떨어지는 물건 / 가져오면 가치가 올라오는 물건을 구분할것.

​-캐시플로 게임 해보기

-모든것, 모든사람에서 배울것이 있다.

-뭔가를 원한다면 먼저 줘야한다.

✅ 새로 알게된 것

10 2000년에서 2016년사이 경제를 구한다는 명목하에 세계의 은행들은 계속 이자율을 낮추고 돈을 찍어냈다.

188 오늘날 평범한 미국인들은 세금을 내기 위해 최소한 일년에 다섯달은 정부를 위해 일하고 있는 셈이다.

✅ 기억하고 싶은 것

11 저축하는 사람은 패배자가 된다.

오늘날 많은 나라에서 예금에 마이너스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그래서 저축하는 사람은 패배자가 된다. 오늘날 가장 큰 패배자는 돈을 위해 일하고 저축을 하는 사람들, 즉 가난한 사람들과 중산층이다.

 

 

31 돈은 힘의 한 형태다. 하지만 그보다 강력한것은 돈에 관한 지식이다. 돈은 있다가도 없는 것이지만, 돈의 작용원리에 관한 지식만 있으면 돈을 통제할 수 있을 뿐아니라 부를 쌓을 수 있다.

>> 돈의 작용 원리

 

 

​45 결단력 : 단호하게 결심하는 능력이 없다면 돈 버는 법도 결코 배울 수 지. 기회는 왔다각 ㅏ는 법이다. 언제 빠른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아는것도 중요한 기술이야.

>> 삶에 있어, 투자에 있어 결단을 해야할때 하는것이 꼭 필요한 능력이다.

 

 

56 네가 문제라는 걸 깨달으면 너 자신을 바꿀 수 있어. 그러면서 뭔가를 배우고 더 현명해지는 거지. 대부분의 사람들은 ㅣ 자신은 그대로 놔두고 늘 남들을 바꾸려고만 하지. 이점을 명심하렴. 다른사람들보다 나 자신을 바꾸는것이 훨씬 쉽단다.(중략) "그런 태도를 버리지 않으면 아무것도 배우지 못할걸. 남이 문제라는 태도를 버리지 않으면 결국 네가 할 수 있는 선택은 뭐가 있겠니?"

>> 대부분의 사람이 남탓, 세상탓, 나라탓하며 이렇게 산다는것이 현실이다.

 

 

63 세금

돈을 벌면 세금을 내야해. 돈을 쓸때에도 세금을 내야하지. 저축을 할 때도 세금을 내고, 심지어 죽을 때도 세금을 내야 한단다.

 

 

70 인간의 삶은 두가지 감정에 의해 지배된다. 그것은 바로 '두려움'과 '욕심'이다.

>> 내가 매일 생각하고 책상에 붙여놓은 가치관 : 두려움과 욕심을 초월하고 편안한 삶을 살고 있다.

 

 

77 돈의 힘을 정복하는 방법 = 두려움과 욕망을 해결하는 방법 (금융지식을 마스터)

 

 

80 두려움과 욕망을 가중시키는 것음 무지란다.

>> 돈에 대해 공부하지 않으면 부자가 되어도 돈을 잃을까봐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돈에 대해 공부해야한다.

 

 

108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알고 자산을 사라

"부자들은 자산을 취득한다. 그렇지만 가난한 이들과 중산층은 부채를 얻으면서 그것을 자산이라고 여기지." (중략) 자산은 우리의 지갑에 돈을 넣어주는 것이다. 부채는 우리의 지갑에서 돈을 빼가는 것이다. 당신이 알아야할 은 이게 전부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자산을 사라. 가난한 사람이나 중산층에 머물고 싶다면 부채를 사라. (중략) 부자들이 부자인 이유는 재정적인 문제로 고생하는 사람들과 다른 분야에서 더 많은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자가 되고 가진 재산을 유지하고 싶다면 금융지식을 쌓는것이 중요하다.

 

 

108 첫번째 규칙 :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알고 자산을 사라

"부자들은 자산을 취득한다 .그렇지만 가난한 이들과 중산층은 부채를 얻으면서 그것을 자산이라고 여기지."

 

 

128 "똑똑한 사람은 자기보다 더 똑똑한 사람을 고용한다."

 

 

145 부자가 되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하죠? 라고 물을때마다 로버트는 부자아버지가 그에게 해준 것과 똑같은 대답을 한다. "부자가 되고 싶으면 돈에 대한 지식을 쌓아야 한다."

 

 

166 순자산이 정확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중 하나는 일단 자산을 팔게 되면 그때마다 세금이 붙기 때문이다.

>> 자산을 팔아도 세금이 붙기 때문에 순자산이 애매한것이다.

 

 

167 당신만의 사업을 시작하라. 직장을 유지하면서 부채가 아닌 진짜 자산을 사라. 집으로 가져오면 가치가 사라지는 일반 소장품은 사지마라. 지출 낮추고 부채를 줄이고 부지런히 튼튼한 자산기반을 만들라.

 

 

231 다른사람들은 삶이 아무리 하찮은 것을 건네주더라도 그것을 수백만달러로 바꿀줄 안다. 그것이 바로 금융지능이다.

 

 

240 인간은 원래 실수를 통해 배우도록 설계된 존재다. 우리는 넘어지면서 걸음마를 배운다. 넘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절대 걸을 수 없을 것이다.(중략) 진정한 승자는 패배를 두려워 하지 않는다. 그러나 패배자들은 지는것을 두려워 한다. 실패란 성공과정을 구성하는 일부다. 실패를 피해가는 사람들은 결국 성공 또한 피해 가게 될 것이다.

 

 

247 운은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운을 창출할 줄 알아야 한다.

 

 

247 돈은 진짜가 아니라 그저 사람들끼리 합의한 약속일 뿐이다.

 

 

275 나는 세일즈와 마케팅만큼 중요한 기술은 없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세일즈와 마케팅은 대단히 어려운 기술이다. 주로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가 어렵기 때무이다. 의사소통과 협상능력을 키우고 거절에 대한 ㅜ려움을 더욱 잘 다룰수록 삶은 더 쉬워진다.

>> 전세 재계약할때 거절에 대한 두려움. 극복했는데 당시 엄청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거절에 익숙해질것.

 

 

288 두려움 극복하기

한푼도 잃어본적이 없는 가난한 사람들은 많이 만나 보았다. 바로 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들 말이다. 돈을 잃는다는 두려움은 현실적이다. 모두가 그런 두려움을 갖고있다. 부자듣로 그렇다. 그러나 두려움을 갖고있다는것은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것은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이다. 잃는다는것을 어떻게 다루느냐다. 실패를 다루는 방식이 인생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부자와 가난한자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그런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에 있다.

 

 

289 세계불가사의중 하나는 바로 복리 이자의 힘이다.

 

 

294 실패는 승자에게 힘을 불어넣는다. 그리고 실패는 패배자들을 좌절시킨다. 이것이 바로 승자들이 지닌 가장 큰 비밀이다. 패배자들은 모르는 비밀이다. 승자의 가장 큰 비밀은 바로 패배를 통해 승리를 위한 영감을 자극받는다는것이다. 따라서 그들은 지거나 잃는것을 두려워하지 ㅏㄶ는다.

>> 잃는것, 리스크, 실패를 다루는것이 익숙해질것. 나에게 올라오는 두려운 감정은 실패가 두렵기때문이다. 두려워하지말고 실패는 있는그대로 받아들이고 성장하면된다.

 

 

296 자산부문을 키우는데에는 태도가 무척 중요하다. 배짱과 인내, 실패를 향한 바람직한 태도가 필요하다.

 

 

328 부자로 가는 길을 막는 장애물 극복하기

부자와 가난한자의 일차적인 차이점은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전적으로 이기지 못하는 ㅠ는 돈을 잃어서 느끼는 고통이 부자가 되어서 얻는 즐거움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336 매일 선택하라

나는 어떠한 문제나 상황을 두가지 방식을 통해 분석하ㅕ, 이는 대단히 값진 능력이다. 오늘날 나는 종종 이렇게 말한다. "도널드트럼프라면, 혹은 워런버핏이나 조지소로스라면 이럴때 어떻게 할까?" 내가 그의 거대한 정신적 힘에 접촉하는 유일한 길은 그들이 하는 말을 겸손하게 듣거나 읽는것이다. 거만하거나 비판적인 사람들은 대개 자존감이 낮고 리스크를 두려워한다.

>> 거만한사람과 / 배움에 대해 게으른 사람들이 있는것 같다.

>> 내주변의 대부분사람들은 두번째이고, 나는 둘다가진 사람이였었다.

 

 

364 주는 것의 힘

만일 내가 당신에게 오직 한가지 생각만을 가르쳐 줄 수 있다면 나는 이걸 가르치겠다. 무언가가 필요하거나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먼저 당신이 원하는것을 주라. 그러면 되로 줘도 말로 돌아올 것이다. 이는 돈과 미소 사랑 그리고 우정에 있어서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아마 어떤 이들은 결코 그렇게 하고 싶지 않겠지만 내 경우에 그것은 늘 효과적이었다. 나는 호혜의 원칙이 사실이라고 믿으며 늘 내가 원하는것을 다른이들에게 주었다. 돈이 갖고 싶을때 돈을 주었다. 그러자 돈이 수배로 돌아왔다.

✅ 이야기 나누어보고 싶은 발제문

108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알고 자산을 사라

"부자들은 자산을 취득한다. 그렇지만 가난한 이들과 중산층은 부채를 얻으면서 그것을 자산이라고 여기지." (중략) 자산은 우리의 지갑에 돈을 넣어주는 것이다. 부채는 우리의 지갑에서 돈을 빼가는 것이다. 당신이 알아야할 은 이게 전부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자산을 사라. 가난한 사람이나 중산층에 머물고 싶다면 부채를 사라.

>> 부채를 사고 자산이라고 생각하고 살았던 경험이 있는지 이야기 나누어 봅시다.

338 친구는 신중하게 고르라

>> 돈이 있는 친구와 돈에 대해 이야기하고 배운 경험, 돈이 없는 친구에게 돈이야기를 회피하면서 배운경험을 나누어봅시다.

>> 나는 부모님께 돈이야기를 하면 싫어하셨던게 바로 기억이 났다. 반면 회사에서 만난 Y선임님은 돈이야기하는것을 좋아했다. 주식투자나 경제, 금리에 대해 종일 생각하고 궁금해했다.

읽어볼 책

부자는 왜 더욱 부자가 되는가 - 로버트 기요사키

반응형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앙드레 코스톨라니

저자 소개 :: 앙드레 코스톨라니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1906년 헝가리에서 출생한 그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증권투자의 대부였다. 철학과 미술사를 전공했지만 사실은 피아니스트가 되는 게 꿈이었다. 16세에 아버지의 친구에게 투자를 배우기 위해 파리에 오면서 증권계에 입문하였고 20대에 첫 투자를 시작한 이래, 금융세계는 늘 그를 필요로 했다. "박학다식한 저술가, 유머넘치는 칼럼니스트이자 유쾌한 만담가"(슈피겔지)인 그는 생전에 10여권이 넘는 책을 저술하였으며 8개국어로 번역된 그의 책들은 진정한 투자의 지혜를 갈망하는 전세계의 수백만이 넘는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한 번도 정식 경제학 교육을 받지 않았으나 수많은 대학에서 강연을 하였고 마치 날씨나 아름다운 여인처럼 '논리가 통하지 않는 주식시장'을 '과학적 논리'로 해명하려 드는 경제학자들보다 언제나 한 수 위에 있었다. 90이 넘어서도 필력을 과시하였던 코스톨라니는 혼신의 힘을 기울여 이 책을 저술하였으나 끝내 서문은 쓰지 못하고 1999년 9월 14일 94세를 일기로 파리에서 영면하였다. 그의 사후에 출간된 이 책은 출간즉시 독일내 종합 베스트셀러 1위 자리에 올랐다.

| 느낀점

1990년대 유럽 투자의 대가 코스토라니의 돈과 투자에 대한 철학이 담김 책이다.

| 책 내용 정리

9 그에게 있어 돈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다.

10 돈이란 그에게 있어 건강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최고의 선물이자 가장 귀한 것이었다. 그건 바로 원한다면 (거의) 무엇이든 할 수 있고 말할 수 있으며, 원치 않는 것은 당당하게 거부할 수 있고 하지 않을 수 있는 권리였다.

>> 투자를 하는 이유와 목표가 ‘10억 달성’과 같이 돈이 되지 않아야한다. 돈을 벌어서 원하는곳에서 원하는사람과 원하는것을 원하는만큼 하기 위해서 투자를 하는것이다. 돈은 내가 원하는 삶을 위한 수단일 뿐이다. 잊지말자.

| 돈의 매력

28 돈에 대한 올바른 태도

한 마디로 말하자면, 돈을 뜨겁게 사랑하되 차갑게 다뤄야 한다. 마냥 돈을 쫓으려 하지 말고, 오나시스가 말한것처럼 돈고 ㅏ정면으로 부딪쳐야 한다.

32 단시간에 백만장자 되기

단기간에 백반장자 되는법은 세 가지다.

1.부자와 결혼하는것

2.유망한 사업 아이템과 아이디어

3.투자

33 투자는 과학이 아닌 예술이다

34 나는 증권투자자이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코스톨라니가 정의하는 투자자)

내일 무슨 일이 벌어질지 나는 모른다. 하지만 어제 그리고 오늘이 어땠는지는 잘 알고 있다. 솔직히 그것만 해도 상당한 것이다. 내 동료들중 다수가 여전히 그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80년에 이르는 내 증권시장 경험에서 내가 단 하나 제대로 배운 것이 있다면 바로 이것이다. 즉, 투자는 과학이 아니라 예술이라는 점이다. 미술과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에서도 초현실주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내게 있어 ‘투자자’란 지서인이며, 경제의 발전, 정치, 사회를 제대로 진단하고 그것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심사숙고하는 증권거래인을 의미한다.

>> 과거와 현재의 시장을 제대로 분석하고 똑바로 볼 줄 아는 것만으로도 남과 다른 것이다. 내일 무슨일이 일어날지는 모르는것이다.

| 증권동물원

62 투자란 부와 파산사이를 오가는 위험한 항해이다. 이때 필요한것은 무엇보다 훌륭한 배와 똑독한 항해사다. 그렇다면 훌륭한 배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돈, 인내 그리고 강심장으로 무장한배다. 그렇담녀 똑똑한 항해사는 어떤 사람일까? 경험이 많고 주체적으로 사고하는 사람을 말한다.

63 투자자가 기자 그리고 특히 의사와 구분되는 한 가지 특징이 있다. 그것은 학교에서 배울 수 없다는 것이다. 투자자의 무기는 첫 번째도 경험이고, 두 번째도 그리고 세 번째도 경험이다. 나는 지난 80년간 쌓은 나의 경험을 내 몸무게만큼의 황금을 준다해도 절대 바꾸지 않을 것이다.

| 주가를 움직이는 것들

113 주식시장에서 그 주가가 오르는 것은 공급보다 수요가 많을 때 뿐이다. 이것이 주식시장에 적용되는 유일한 논리라고 할 수 있다.

114 주가의 흐름은 주식을 팔려는 매도자가 주식을 사들이려는 매수자보다 더 급박한지 아닌지에 달려있다.

| 증권 심리학

156 당신은 부화뇌동파인가, 소신파인가?

소신파는 말 그대로 장기투자자와 단기투자자, 즉 투자자를 지칭한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그들은 증권시장의 승자에 속한다.

160 더군다나 아무런 빚도 없었던 나는 걱정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중략) 어떠한 상황이라도 빚을 내서 주식을 사는 것은 금물이라는것!

165 인내

투자에 있어서 인내에 대한 나의 생각은 '투자를 통해서 번 돈은 고통의 결과물이다. 처음에 힘든 시간을 보내야 나중에 돈이 생긴다' 라는 것이다. 처음에는 항상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전개되다가 마지막이 되어서야 생각했던대로 이뤄진다.

167 행운

물론 투자자에게는 행운도 필요하다. 전쟁, 자연재해, 정치적혼란, 새로운발명, 사기 등 온갖 요소들이 투자자가 자신의 투자를 결정하는 밑바탕이 되었던 기본 전제조건들을 무너뜨리기 때문이다. (중략) 돈이 없거나, 심지어 빚이 있는 투자자는 인내할 여력이 없다. 항상 그렇듯 처음에는 모든것이 기대와 다르게 흘러가고 시세가 예측과 다르게 변하면 그 즉시 포지션을 바꿀 수 밖에 없다.

218 하지만 전쟁이나 주요 정치적, 경제적 결정, 금융 정책, 정권 교체 등 미처 가늠할 수 없었던 중대한 변수가 생기면, 제아무리 어제까지 사랑스럽고 값진 것이었더라도 신속하게 결정해서 당장 던져버려야 한다. 다시말해, 투자자는 언제라도 결정적인 순간이 닥치면 자신의 생각과 계획을 버릴 준비가 되어 있어야한다. 따라서 투자자는 단단한 동시에 유연해야한다.

반응형

투자철학과 인생철학을 담은 찰리 멍거 바이블(현명한 투자자가 되기)

 

"멍거의 조언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실천에 옮기는 사람이라면, 인생의 많은 부분이 바뀔것이다."

 

 

돈은 경솔한 사람의 손에서 빠져나와 신중한 사람의 손으로 들어간다.

 

결단력

  멍거는 기회는 자주 오지 않는다며, 기회가 왔을 때는 꽉 붙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준비된 사람이 기회를 만날 때, 그때가 바로 승부처라는 말이다. 여기에는 과단성과 자신만의 확신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사람들이 탐욕을 부릴 때 두려워하고 사람들이 두려워할 때 탐욕을 부릴 수 있다”.

 

 

■ 한줄요약 :

-찰리 멍거 : 워런 버핏과 버크셔 해서웨이를 키워 온 사람. 워런버핏의 오랜친구이자 조언자 영향력자, 자본주의에 대한 위대한 사상가, 워런 버핏의 멘토, 독립적 사고를 하는 위대한 투자자.

이 책은 찰리멍거의 투자방식과 생각을 담은 책이다. 그의 투자방식, 마인드를 배움으로써

지금 하고 있는 투자에 대하여 방향성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가치투자자 스승 3인 : 벤저민 그레이엄(가치투자의 아버지), 워런 버핏(그레이엄의 수제자이자 세계 최고 투자자), 찰리멍거(버핏의 조언자이자 투자파트너)

 

 

■ 느낀점 : 전세계시대적 투자 대거의 책을 읽는 경험은 처음이다. 그동안 열반스쿨이 최고다! 라고 생각했었는데 열반에서 배운 내용은 이 책의 일부일뿐이였다는 생각이 든다.

 

아는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르다. 평범한 사람이 비상한 사람이 되기 위해 '스스로 부족함을 알고 더 많이 배우려고 노력한것' 이다.

 

심리학에 대해 매우강조한다. 현재 같이 읽고있는책이 설득의 심리학인데 유사한부분이 많다. 인간심리를 잘알아야 투자에 성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걸 읽어내기가 상당히 어렵고 방대하다. 분임, 단임, 매임을할때 기록하는 노트 가장 상단에 큰 글씨로 오판을 피하기위한 원씽을 적어두곤 하는데 이러한 기준이 매우 중요함을 깨닫고 있다.

 

 

 

 

■ 내용 책갈피 및 생각

 

#오판의 심리학

인간의 의사결정 방식을 깊게 공부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어떤 우위를 줄까? 인간의 의사결정은 전혀 합리적이지 않다. 오히려, ‘합리적’이라는 사고방식이 실제로 존재하기는 하는 건가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 

 

->인간의 판단은 정말 비이성적이다. 설득의 심리학이라는 책을 통해 인간심리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사람의 뇌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메커니즘이 있고 그 순리를 역행하는 판단을 통해 지혜와 인내가 쌓인다고 한다.

 

 

 

#가치투자

모든사람들이 다 좋은곳에만 투자하면 인당 떨어지는 수익금은 훨씬 줄어들것이다.

그렇다면 주식투자는 어디에 하는 것이 맞는가? 가치투자, 즉 '현재 가격이 잘못 매겨진 도박'을 찾아 투자해야한다.

이말인 즉슨 가치 절하가 물건을 오랜기간 고민하고 찾아내서 베팅을 해야하는 이다.

-> 자본주의에서 돈이 스스로 굴러들어오게 하는 방법의 핵심은'독점'이다. 삼성전자가 좋은건 다 알고있지만 모두가 삼성전자를 나누어 사면 그게 과연 독점하는것인지? 이러한 우량의 자산을 독점하지 못한다면, 남들은 모르지만 나만 알고있는 가치대비 가격이 싼물건을 독점하여 기회를 얻는 것이다.

 

 

 

 

#스스로에 대한 통찰. 나는 어떤 투자자가 될것인가?

대박 종목이 있다고 믿고 이를 찾는데 몰두하는 투자자, 투자 의사결정에 늘 자신이 없는 투자자

 

-> 스스로 이런 투자자가 아닌가 성찰하게 되었다. 돈버는 부동산, 사람들이 모두 좋아하는 단지를 싸지않은 가격에 사려고 했던 것. 투자의사결정을 스스로 내려 자신있게 스스로의 결정대로 5년이상 물건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 같다. 아직 투자경험이 부족한 초보이기때문에 당연한 것이 아닐까 싶긴한데.. 스스로에 대한 메타인지와 성찰의 시간을 정말 많이 가져야겠다고 생각된다. 또 이 책을 1년뒤 2년뒤 10년뒤 20년뒤에 읽어도 정말 소름끼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ㅎㅎ

 

#메타인지(자아성찰)

내 능력의 범위를 알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다른사람과 비교하며 철저하게 합리성을 유지해 '자기기만'에 빠지지 말아야한다.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건 대부분 선천적인 능력이다.)

 

지적 겸손

  지적 겸손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범위’를 파악하고 그 안에 머무는 것이 필요하다. 2018년 2월 데일리 저널 주주총회에 참석한 멍거에게 질문자 중 한 명이 애플,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 알리바바 주가가 과대평가되었는지 아니면 저평가되었는지 물은 적이 있다. 멍거의 대답은 단 한 마디였다. “잘 모릅니다(Well my answer is I don’t know).” 자신의 능력범위를 쉽사리 벗어나지 않는 면모를 잘 보여주는 일화다.

  성공 투자를 위해서는 자신의 의견에 반하거나 믿고 싶지 않은 사실도 확인하고 기꺼이 받아들여야 한다. 멍거는 자기 자신이 바로 가장 속이기 쉬운 상대라며, 절대로 자신을 속이지 말라고 당부했다.

 

Q.2019. 나는 내 능력범위를 정말 모르겠습니다. 당신은 어떻게 발견했나요?

  자신의 강점을 파악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자신의 강점을 모른다면 능력범위를 모르는 것입니다. 자신의 능력범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사람은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고 심각한 실수를 저지르게 됩니다. 자신의 성과를 다른 사람과 계속해서 비교해야 하며 철저하게 합리성을 유지해 자기기만에 빠지지 말아야 합니다. 그러나 내가 평생 관찰한 바로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능력은 대개 선천적입니다. 워런과 나는 그런 능력을 타고났습니다. 물론 많은 교육도 필요했고요. 아무튼 우리는 투자에 필요한 기질을 타고났다고 생각합니다. 당신이 다시 태어날 방법은 나도 모릅니다.

 

-> 항상 남과 비교하지말라는 위로를 많이 듣고 살았는데, 멍거는 끊임없이 다른사람과 비교하며 자기기만에 빠지지 말라고 이야기한다. 최근 너나위님 칼럼을 읽기 시작하며 "자기성찰을 통한 메타인지"를 정말 잘하신다고 생각했는데, 이건 선천적 능력이라고 한다. 나에게 이 선천적 능력이 있는가? 생각해보면 그렇지 않다. 매월 월말복기를 통해 스스로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가지지만 사실 그리 딥하게 고민하는 시간은 아닌것 같다. 앞으로 나눔글도 많이 쓰고 글쓰기와 딥한월말복기를 통해 스스로를 돌아보는 시간을 더 디테일하게 가져야겠다.

-> 나의 강점이 무엇일까…? 모르겠다… 정말 나는 스스로에 대한 성찰이 부족한사람이다.

 

 

#확증편향

멍거는 확증 편향을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다. 인간의 뇌는 ‘불일치 회피(inconsistency avoidance)’를 위해 변화를 꺼리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고 이것이 확증 편향의 원인 중 하나라는 것이다. 특히 정보화 사회에 진입한 후에는 정보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확증 편향 극복이 더 어려워졌다. 많은 진화생물학자가 지적했듯이 인간의 사고 구조는 현대 사회에 최적화된 구조가 아니다. 그런데 21세기의 현대인은 날마다 엄청난 양의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고 복잡한 선택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정보의 홍수에 매몰되지 않기 위해서 결국 인간은 지름길을 선택하게 된다. 즉 우리가 원하는 결과와 부합하는 정보에 매몰된다. 우리의 믿음을 강화해주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울 뿐만 아니라 정신 에너지 소모도 적기 때문이다. 반면 기존의 믿음을 부정하는 정보는 어떻게 해서든 피하려고 노력한다. 우리의 믿음을 끊임없이 재평가하는 험난하고 먼 길 대신 기존의 믿음을 강화하는 지름길을 선택하는 셈이다.

 

확증 편향을 피하는 방법은 없을까? 

워런 버핏이 확증 편향을 극복한 방법

  버핏 역시 확증 편향을 인지하고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2002년 버크셔 해서웨이 주주총회에서 버핏은 확증 편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버핏 내가 논리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해줄 수 있는 파트너를 가지는 것은 정말 멋진 일입니다.

  멍거 그것도 자주!

  버핏 사람이 가장 잘하는 일은 모든 정보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해서 기존에 내린 결론이 온전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재능은 모든 사람이 마스터한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이런 편향에 저항하는지 말해보자면, 사실 우리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습니다. 찰리와 나는 큰 실수를 저질렀으며 그 이유는 문제를 새롭게 바라보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입니다. (확증 편향에 대항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비위를 맞추기 위해 굽신거리지 않으며 극도로 논리적인 파트너를 두는 것입니다.

 

-> 내가 스스로 나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해서 내린 결론에 대해 아니라고 말해줄 수 있는 파트너가 필요하다. 반대로 나도 그런 파트너가 되어줄 수 있을까? '아니오'라고 말하기가 힘들것 같다.

 

 

#배움에 대한 열정

버핏과 멍거는 ‘학습 기계’ 개념을 강조한다. 그들은 자기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원인은 결국 스스로 부족함을 알고 더 많이 배우려고 노력한 것이라고 한다.

 

->투자는 지식이 아닌 지혜로 하는것이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삶에 대한 태도와 실패를 통해 얻게된 통찰력이 모두 삶의 지혜가 되는 것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와 인간의 심리

투자는 결국 '세상'과 '사람'을 이해하는 것이다. 우리 인간은 편견에 사로잡히고, 스스로를 과신하며, 종종 매우 비이성적으로 행동하고 오판하는 존재이다. 세상과 사람을 이해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오판의 원인이 되는 25개 경향

 

1. 보상과 처벌 경향(Reward and Punishment Super Response Tendency)

 

  2.선호·애정 경향(Liking/Loving Tendency)

우리가 선호하고 좋아하는 대상에 대해서는 좋은 면만 보게 하는 경향이다. 이 경향은 다음과 같은 실수를 하게 만든다.

  ▪ 좋아하는 대상의 실수를 무시하거나 그의 소망에 순응한다.

  ▪ 좋아하는 대상과 관련되었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사람·물건·행동을 선호한다(단순 연관성 경향에서도 다시 언급된다).

  ▪ 사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실을 왜곡한다.

 

 

  3.반감·혐오 경향(Disliking/Hating Tendency)

 

  4.의심 회피 경향(Doubt-Avoidance Tendency)

 

  5.불일치 회피 경향(Inconsistency-Avoidance Tendency)

인간의 뇌는 변화를 꺼리면서 프로그래밍할 공간을 보존하는데 이것이 바로 불일치 회피 경향의 형태로 나타난다. 변화를 위해서는 기존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분석해서 기존 결정을 유지 또는 변경하도록 판단하는 사고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언급한 의심 회피 경향과 변화를 싫어하는 불일치 회피 경향이 결합할 경우, 인지 과정에 큰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사람들은 처음 내린 결론에 집착하는 편향이 있다.

->처음 내린 결론에 집착하는 편향 나도 있다. 내린 이 결론에 대한 가설을 부정하는 증거에 더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노력하자.

 

  6.호기심 경향(Curiosity Tendency)

 

  7.칸트적 공정성 경향(Kantian Fairness Tendency)

 

  8.시기·질투 경향(Envy/Jealousy Tendency)

 

  9.상호성 경향(Reciprocation Tendency)

 

  10.단순 연관성 경향(Influence-from-Mere-Association Tendency)

 

  11.현실 부정(Simple, Pain-Avoiding Psychological Denial)

 

  12.과도한 자존감 경향(Excessive Self-Regard Tendency)

사람들은 보통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스웨덴 운전자 중 90%가 자신의 운전 실력이 평균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또한 사람들은 자신이 보유한 물건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소유 효과(endowment effect) 역시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과도한 자존감 경향은 자신과 닮은 사람을 선호하게 만든다. 이와 관련해 재미있는 심리학 실험이 ‘잃어버린 지갑’ 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지갑을 습득한 사람은 지갑 주인이 자신과 비슷

할수록 지갑을 돌려주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내린 결론에 대한 애정을 강화하는 것 역시 소유 효과의 영향이다. 

->내가 1등으로 뽑은 물건에 대해 애정을 강화하여 소유효과를 발생시킨다. 더 객관적으로 한걸음 뒤에서 보고 심리적 오판을 하고 있는게 아닌지 주의해야한다.

 

  13.과도한 낙관주의 경향(Overoptimism Tendency)

 

  14.박탈에 대한 과민 반응 경향(Deprival-Superreaction Tendency)

 

  15.사회적 증거 경향(Social-Proof Tendency)

 

  16.대조 경향(Contrast-Misreaction Tendency)

 

  17.스트레스 영향 경향(Stress-Influence Tendency)

 

  18.가용성 경향(Availability-Misweighing Tendency)

 

  19.용불용 경향(Use-It-or-Lose-It Tendency)

 

  20.약물 의존 경향(Drug-Misinfluence Tendency)

 

 21.노화 경향(Senescence-Misinfluence Tendency)

 

  22.권위 복종 경향(Authority-Misinfluence Tendency)

 

  23.헛소리 경향(Twaddle Tendency)

 

  24.이유 존중 경향(Reason-Respecting Tendency)

 

  25.롤라팔루자 경향(Lollapalooza Tendency) -

 

 

 

# 투자 조언 -   기질, 인내, 호기심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올바른 기질을 가지는 것입니다. 사람들 대다수는 걱정을 너무 많이 하면서 조바심을 냅니다. 성공은 상당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다가 필요한 순간에 공격적이어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얻기 힘든 교훈이라면 직접 어렵게 경험하는 것보다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조바심 내지 않고 주식을 보유하는 성향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기질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여러분은 상당히 긴 시간 동안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일이 왜 일어나는지에 대해 열정적인 호기심을 가져야 합니다. 이런 마인드가 장기간 유지된다면 현실에 집중할 능력이 지속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이런 마인드를 가지지 못한다면 IQ가 높더라도 실패할 것입니다.

->올바른 기질을 가지고, 상당한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다가 필요한 순간에 공격한다 !!!!!

 

 

#인생에 대해

성공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소수에 불과할 것입니다. 성공하는 사람은 항상 소수일 수밖에 없습니다. 성공에는 절제력, 도덕성, 좋은 동료, 좋은 아이디어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옛말이 옳다’입니다. 옛날에 통하던 덕목이 지금도 여전히 통한다는 말입니다.

 

나는 재산을 두 배로 불릴 기회를 놓친 적이 있습니다. 그 실수를 하지 말라고 조언할 것입니다. 돌아보면 후회스러운 결정이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그러나 가끔 기회를 놓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되돌릴 수 없는 일로 속을 태워봐야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분노와 증오에 휩쓸린다면 큰 실수입니다. 이는 명백한 사실인데도 그런 감정에 휩쓸려 인생을 망치는 사람이 매우 많습니다. 질투 역시 전혀 쓸모가 없으므로 매우 어리석은 행동입니다. 질투가 재미있는 사람도 있을까요? 질투가 도대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나보다 잘난 사람은 항상 존재하는 법입니다. 질투는 정말 어리석은 행동입니다. 그래서 그 어리석은 행동은 피하는 것이 내가 살아가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으로 인기를 얻지는 못하겠지만 문제는 피할 수 있습니다.

 

 

 

 

■ BM List

-자아성찰 (메타인지) : 월말복기를 더 디테일하게. 오랫동안 스스로에 대해 남과 비교하며 스스로를 평가하여 내 능력의 범위(스스로의 케파)를 파악하기. 투자생활이 길어질수록 더욱 필요한 능력이다.

-가치와 가격을 비교하는게 전부다

-독서와 지식의 상관성. 1달 3권이상 읽기

-지능도 복리로 늘린다 : 하루중 가장 좋은 시간을 내 지능계발에 투자한다. (퇴근후 7시~12시를 가장 좋은시간으로 만들어가는중. 천성 아침형 인간이였는데 저녁형 인간으로 변경노력중)

-이어 읽을 책 : 설득의 심리학, 바빌론 부자들의 돈 버는 지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