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투자와 연결되는 시세트래킹

 

오늘은 강서구 시세를 살펴보겠습니다 :)

 

지난달 다녀온 3군 동작구와, 이번달 임장중인 같은 4군 서대문구와

기타 앞마당들을 둘러보면서 함께 비교평가까지 해보겠습니다.

 

 

[이번주 매임하면서 궁금했던점]

4군 비교평가

- 서대문구 가재울 뉴타운

- 강서구 염창, 우장산

- 성북구 길음 뉴타운

 

 


 

아직 시세를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단계라 24평으로만 비교해보겠습니다.

 

 

 

📍 마곡

- 강서구 대장 마곡부터 보고 가겠습니다. 강서구 대장 마곡은 연식이 10년이내이며, 가격은 12억대/6억초반입니다.(전고점 12억대) 대장들은 이미 작년 겨울부터 전고점을 회복했습니다.

 

- 전고점 10억 라인의 수명산파크는 호가 8억후반/5억초반입니다.

 

 

 

 

 

📍 우장산

- 강서구 우장산 생활권은 11억/6.5억(전고점 12억) 입니다. 확실히 전세가 탄탄한곳입니다.

- 서대문구 가재울 생활권이 11억대/6.3억(전고점 12억) 입니다. -> 우장산과 가재울은 거의 비슷한 그래프를 보여줍니다. 

- 이번주 서대문구 가재울 임장하면서 DMC파크뷰 매물을 보다가 이단지들이 생각이 났고 비교평가 하고 싶었습니다. 염창까지 함께 본뒤 비교평가 해보겠습니다.

 

 

 

 

 

 

[ 가재울 VS 염창 VS 우장산 VS 길음 ]

- 가설 : 가설을 세울 때, 염창 > 가재울=우장산 > 길음으로 세웠었습니다. 

- 검증 : 길음 롯캐클라시아 > 염창 강서힐스테이트 > 가재울 DMC파크뷰자이 = 우장산 강서힐스테이트

- 제가 잘못보고 있었습니다. 길음이 가장 높은 그래프를 보여주었습니다.

- 생각해보니 길음은 성북구의 대장인데 강서구 대장 마곡이 아닌 염창과 비교하려고 했던 생각이 잘못되었었던것 같습니다. 그래서 다시 마곡과 비교해보니 마곡보다도 높은 전고점을 보여주었었습니다. 

- 그리고 강남에서 성북구를 갈때는 불편했지만 한시간이 걸리지 않았지만, 강남에서 마곡이나 DMC를 갈때는 1시간이 조금 넘게 걸렸습니다. 강남접근성으로 따져도 길음이 낫습니다.

- 길음과 마곡을 비교해보면 대장단지로만 따지면 길음이 더 높습니다. (길음롯캐클라시아 > 마곡엠밸리) 하지만 입지는 마곡이 길음보다는 높다고 생각했습니다.(직장 우위, 교통 비슷, 학군 비슷, 환경 비슷) 이부분은 질문으로 남겨야할것 같습니다.(마곡VS길음)

 

 

 

 

- 다음순위인 가재울, 염창, 우장산을 비교해봅니다.

- [가재울VS우장산] 가재울과 우장산은 거의 비슷한 그래프를 보여줍니다. 4군 안에서 비슷한 선호도와 입지를 가진다고 생각됩니다. 

  서대문구 가재울 (비교 기준) 강서구 우장산 비교
교통 경의중앙선, 6호선, 공항철도
(광화문, DMC)
5호선
(광화문, 마곡)
약간 우위
학군 우수 우수 동등 수준
직장 열위 우수 열위
환경 조금 열위함 우수 열위

-주요 입지요소를 비교해보았을때 둘다 교통이 좋지는 않지만 가재울이 교통에서 약간 우위인것으로 보입니다. 학군, 직장, 환경이 모두 강서구 우장산보다 열위함을 고려했을때, 교통이 가재울이 조금 더 낫지만 3대 업무지구 접근성이 썩 좋지 않음을 고려했을때 비슷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가재울VS염창] 가재울이 환경이 너무 좋고 실제로 여유있는 사람들이 많아보였으나, 9호선 염창역 초역세권이 수요와 힘이 조금 더 크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부분은 질문사항으로 남기며 계속 고민해보아야할것 같습니다.

실력이 부족한것을 느끼고 아쉬움이 생깁니다.ㅜㅜ

꾸준히 정진하겠습니다.

 


 

📍 질문사항

1. 비교평가 : 서대문구 가재울 생활권 VS 강서구 염창 생활권

- 환경 VS 교통에 대한 질문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 교통이 아쉽지만 환경이 좋은 가재울생활권과, 환경이 부족하지만 교통이 좋은 염창생활권을 비교했을때, 그래프를 찍어보니 교통이 더 좋은 염창생활권이 조금 더 나은것으로 보입니다.

- 수도권에서는 교통이 중요하다고 배웠지만 실제 임장을 가보았을때 가재울과 염창의 우수한환경의 차이가 교통불편함의 차이보다 크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 가재울이 시청, 여의도 접근성이 나쁘지 않은점을 고려했을때 강서구 염창보다 낫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2. 4군 대장단지 비교평가 : 길음롯데캐슬클라시아 VS 마곡힐스테이트 VS DMC파크뷰자이

- 강한 직장이라는 입지요소 때문에 마곡이 1등일것이라 생각했습니다만, 그래프를 찍어보니 길음>마곡>가재울 순이였습니다. 

- 길음롯데캐슬이 성북구 연식이 더 좋고 4호선을 통한 시청, 강남 접근성이 나쁘지 않은점이 교통과 브랜드,연식이 조금 더 아쉬운 마곡보다 우위인것으로 생각했습니다.

- 제가 보고 있는 입지의 순서와 근거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 오늘 본 단지 List

마곡엠밸리12단지 전용85 (13/6.4 투자금 6.6억, 전고점 12억)
마곡엠밸리9단지 전용83 (12/6.3 투자금 5.7억, 전고점 12.3억)
마곡엠밸리8단지 전용84 (12.5/6.2 투자금 6.3억, 전고점 12.5억)
마곡수명산파크5단지 전용80 (8.3/5 투자금 3.3억, 전고점 10.5억)
마곡수명산파크4단지 전용79 (9/5.2 투자금 3.8억, 전고점 9.4억)
우장산아이파크e편한세상 전용79 (11/6.5 투자금 4.5억, 전고점 11.9억)
강서힐스테이트 전용82 (10.7/6.5 투자금 4.2억, 전고점 12.45억)
우장산숲아이파크 전용81 (11.5/6.5 투자금 5억, 전고점 11.3억)
e편한세상염창 전용80 (14/7 투자금 7억, 전고점 13.5억)
반응형

 

오늘은 이번달 임장지인 서대문구에 인접한 상급지인 마포구 시세를 보겠습니다.

 


 

 

[성산 생활권]

1. 생활권 입지

- 서대문 가재울 생활권에 인접한 마포 성산생활권의 구축아파트들 시세를 훑어보았습니다. 마포구 상암동, 중동, 성산동 일대입니다.

- 경의중앙선은 출퇴근시간에는 배차가 이용할만한 수준이나, 다른시간대나 주말에는 이용하기 어려워 이곳 사람들은 DMC역에서 6호선이나 공항철도를 이용한다고 한다. (DMC역까지 도보 10분정도)

- 전반적으로 조용하게 살기 좋은 구축아파트 밀집지역입니다. 경의중앙선 소음이 있습니다.

 

 

2. 가재울뉴타운 VS 마포 중동 비교평가

- 24평 가격은 매매 7-8억대 / 전세 4억대(전고 8억중반) 로 가재울생활권 00년식 구축 아파트와 비교해보면  가격대가 비슷한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재울 DMC아이파크  > 마포 중동 성산월드타운대림, 가재울 DMC래미안클라시스, 마포중동현대1차)

 

 

 

 

 


 

[경의중앙선 DMC역과 수색역을 이용하는 상암동]

 

1. 생활권 입지

- 대부분 30평 이상의 국평~대형평형 구성입니다. 아파트가 모여있고 조용한 분위기입니다. 마포하늘공원 산책하기 좋고 산을 끼고 있어 50대 이상 중년층에게 인기있는 생활권입니다.

- 경의선 철길을 기준으로 은평구 수색증산뉴타운과 맞닿아 있습니다. 수색증산뉴타운이 연식이 좋아 이동하는 수요가 많습니다. 

- 지역구는 마포구이지만 서대문~은평 생활권입니다. 또한 교통도 좋지 않아 3.5~4군으로 평가하는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지리적으로 서대문, 동대문, 평촌, 수지 등 보다 훨씬 좋기 때문에 비교평가를 면밀히 해야겠습니다.

 

 

2. 전용84 가격대

- 9억대~13억대까지도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34평 10억대(전고점 11억)으로 싸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월드컵참누리 전용107 (10.9/6.5 투자금 4.4억, 전고점 13.4억)
성산월드타운대림 전용107 (9.7/6.3 투자금 3.4억, 전고점 11억)

 

- 월드컵파크 4,5,6단지는 전용84 기준 12억이 넘습니다. (전고점 13억대) 

 

 

 

2. 전용59 가격대

- 가격대는 24평 8억중반(전고 9.9억) 으로 30평대와 마찬가지로 싸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 20평대 아파트가 많지 않습니다.

- 상암동 가장 끝단에 위치한 2,10,12 단지에만 20평대가 있습니다. (2010년식 연식)

- 10단지는 대부분 세대가 국민임대와 장기전세입니다. 또한 기차소음이 너무심해 선호도가 떨어집니다.

- 이처럼 같은 상암동 안에서도 실거주자들이 선호하지 않는 단지들은 24년도에 거래가 활발하지 않았습니다. / 그럼에도 12단지의 전고점이 9.9억이었다는것은 저에게 놀랍습니다. (환금성 측면에서.. 투자로 후순위로 둘것 같습니다..) 

 

 

 

 


 

 

 

 

[창전동, 신수동]

1. 생활권 입지

- 6호선 상수역~광흥창역을 이용하며 한강변에 위치합니다.

- 서강대와 홍익대학교가 위치합니다. 

- 6호선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교통보다는 지리적 위치가 좋고 북쪽에서 한강조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압도적으로 큰 생활권입니다. 엎어지면 여의도입니다. 직장접근성이 좋고 여의도 한강뷰가 정말 예쁩니다 ㅎㅎ

- 환경적으로는 상권이 발달하지 않았고 주택가들이 많아 번잡스럽습니다. 특히 서강대로를 지나는 도로가 고가여서 시끄럽고 어수선합니다.

 

 

2. 가격

- 마포 현석동 한강뷰 구축24평 아파트는 11억이 넘습니다.(전고점 12억대) 23~24년 10억에 거래된것이 거의 최저가입니다. 손바뀜이 많지도 않고 실거주 선호도도 높은편입니다.

 

 

 

 

 

 

 

 

 

 

 

 

 

 

 

 

반응형

 

📌내 투자와 연결되는 시세트래킹

 

 

 

[먀먀둥이] 2월 시세 #8 서대문구

 

[북아현]

1. 이편한신촌, 힐스테이트신촌은 마포 단지들처럼 전고점 회복한 호가입니다.

 

2. 북아현두산 전용82 (8.1/5 투자금 3.1억, 전고점 10.7억) 8억대 단지 비교평가 해보겠습니다.

- 길음래미안1차 8.2억, 월곡루나밸리 8.3, 보라매롯데낙천대 8.1, 신대방우성1차 8억, 사당자이 8억

 

- 그래프를 찍어보니 신대방우성1차 > 북아현두산 > 루나밸리 > 사당자이, 보라매롯데낙천대 > 길음1차 순서입니다.

- 신대방우성1차가 가장 높았던점이 의외입니다. 88년식 용적률 209% 1335세대 대단지로 재건축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은 단지이고 실거주 가치또한 가장 높으며 입지적으로도 가장 좋기에 가장 높은 전고점을 보여주었다고 생각됩니다.  -> 동작구 꼴등 신대방생활권이 서대문, 성북구의 1등생활권보다 좋을만큼 동작구의 입지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급지의힘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 다만 북아현두산은 2호선 아현역 역세권이라 신대방우성1보다는 좋을수있겠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였습니다. (새로 알게된 점!)

북아현두산 방3화1 / 신촌럭키 방2화1

- 북아현두산 vs 신촌럭키 : 둘다 복도식이며 가격이 8억정도로 비슷합니다. 신촌럭키가 이대상권접근성이 좋고 경사가 덜하지만 북아현두산이 방이3개이고 구조가 더 좋아 좀 더 선호됩니다.

 

 

 

 

[가재울 뉴타운]

- 가재울뉴타운 신축은 24평 10억대/6억초 가격대를 형성중이며, 전고점을 많이 회복하였습니다. 입지가 좋고 너무나 살기 좋은 환경이라 실거주 거래가 많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투자금은 4억초반정도 필요하며 전세가율은 60%로 높은편입니다.

- 북가좌동 구축 30평대와 남가좌동 신축 24평의 가격이 같습니다. (10억 초중반) -> 이 경우, 가재울생활권에서는 중심의 신축24평이 더 선호도가 높습니다. 소득이 높은 영상, 방송 직군의 DMC 업무지구 종사자들이나 10억대 넘는 아파트를 구매하는 수요의 경우 젊은층이 많아 신축에 대한 선호도가 높습니다. 이는 전세가격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 가재울뉴타운 구축 20평대와 신축 20평대의 전세가격 차이가 큽니다. (신축 6억대, 구축 4.5억대) -> 가재울뉴타운 20평대의 경우 구축이 투자금이 더 많이 들어 투자로서 매력이 떨어집니다.

 

 

 

[독립문~무악재]

1. 돈의문센트레빌 전용108 (15/8.3 투자금 6.7억, 전고점 15.1억) 

- 돈의문센트레빌의 34평 매매가가 15억인것도 놀랍고, 전세가 8.3억인것도 놀랍습니다. 이번주에 매임을 해서 확인해야겠습니다.

 

2. 천연뜨란채 전용75 (8.2/5.4 투자금 2.8억, 전고점 9.8억)

- 언덕이 심한 구축으로 실거주 선호도가 떨어지는 단지. 매매가보다 전세가격 상승이 더 높은 천연뜨란채. 투자금을 좁혀서 투자기회를 노릴 수 있을만한 단지이다.

 

3. 독립문극동

- 24평 가격이 9.7억입니다.(전고 11억), 북아현두산이 8.1억입니다.(전고 11억) -> 북아현두산이 싸다고 생각됩니다.

독립문극동 24평 매매실거래 시세

- 독립문극동이 실거주 선호도 높은 대단지라 24년 상승 거래가 많이 되었습니다.

 

 

 

 

[오늘 뽑은 1등]

북아현두산 전용82 (8.1/5 투자금 3.1억, 전고점 10.7억)

신대방현대 전용107 (9.3/6.3 투자금 3억, 전고점 11.7억)

 

 

 

[오늘 본 단지 리스트]

- 북아현생활권의 가격이 싼단지가 있어 먼저 검토해야할것 같습니다.

- 신축이 전세가 높아 구축과 투자금이 비슷한 곳들이 많습니다. 우선순위 잘 파악해야할것 같습니다.

e편한세상신촌 전용81 (14/7.5 투자금 6.5억, 전고점 15.1억)
힐스테이트신촌 전용88 (13.2/7.2 투자금 6억, 전고점 13.7억)
북아현두산 전용82 (8.1/5 투자금 3.1억, 전고점 10.7억)
신촌럭키 전용81 (8.2/4.5 투자금 3.7억, 전고점 9.4억)
DMC파크뷰자이 전용82 (10.8/6.5 투자금 4.3억, 전고점 12.1억)
래미안루센티아 전용81 (11/6.3 투자금 4.7억, 전고점 12.2억)
DMC센트럴아이파크 전용78 (10.3/6.3 투자금 4억, 전고점 11.95억)
DMC아이파크 전용86 (9.7/4.6 투자금 5.1억, 전고점 11.5억)
래미안남가좌2차 전용84 (9.5/4.5 투자금 5억, 전고점 11억)
돈의문센트레빌 전용108 (15/8.3 투자금 6.7억, 전고점 15.1억)
천연뜨란채 전용75 (8.2/5.4 투자금 2.8억, 전고점 9.8억)
독립문삼호 전용104 (10.2/6.5 투자금 3.7억, 전고점 12.1억)
독립문극동 전용80 (9.7/5.8 투자금 3.9억, 전고점 10.9억)
독립문극동 전용108 (11/6.7 투자금 4.3억, 전고점 13억)

 

 

 

 

[이번주 매임]

1. 북아현

<24평 구축 구조 차이 방갯수? 면적?>

북아현두산 전용82 (8.1/5 투자금 3.1억, 전고점 10.7억) 

신촌럭키 전용81 (8.2/4.5 투자금 3.7억, 전고점 9.4억)

 

 

2. 가재울

<33평 = 24평 비교평가>

DMC아이파크 전용86 (9.7/6 투자금 3.7억, 전고점 11.5억)

DMC파크뷰자이 전용82 (10.8/6.5 투자금 4.3억, 전고점 12.1억)

 

 

3. 독립문~무악재

<서대문생활권 왜이렇게 비싼가? 확인>

돈의문센트레빌 전용108 (15/8.3 투자금 6.7억, 전고점 15.1억) 

<소액투자하기 좋아보여요. 확인해볼것>

천연뜨란채 전용75 (8.2/5.4 투자금 2.8억, 전고점 9.8억)

반응형

[먀먀둥이] 2월 시세 #7 성북구

 

오늘은 24평 위주의 시세를 따고 비교해보겠습니다 :)

 

 

 

[길음동]

 

📍 매매가

📍전세가

- 성북구 대장인 길음롯캐클라시아는 전용59 기준 전고점12억에 현재 호가 11.6억을 형성하고 있으며 해당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성북구 구축대장인 길음6단지래미안 또한 전저점대비 많이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면 전세가격은 동대문구 입주 영향을 받은 탓에 상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실거주 선호도가 높아 가격이 싸진 전저점 대비 가격이 많이 올라온 성북구 길음 랜드마크들(신축, 구축 모두)

- 길음 신축대장 클라시아 24평 전세 6.6억, 길음 구축대장 길음6차래미안 34평 전세 6.5억으로 비슷하게 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매가도 비슷한듯 보이는데, 전고점이나 상승장때 호가는 클라시아 24평이 더 높았습니다.

-> 길음 신축 24평 전세 = 구축 34평 전세가 비슷하게 갑니다. 매매는 신축 24평이 좀 더 높습니다.

 

- 길음 구축역세권 단지의 24평 전세가는 5억초반입니다. 전세가 잘나가는 시장이 아니라 5억대로 거래가 되다가 최근에는 4억대로 내려앉은 모습이기도 합니다.

- 길음 구축역세권 단지의 24평, 34평 전세가격 차이가 꽤 큽니다.(길음6차 : 5억, 6.5억)

 

마지막으로 길음동 전용59의 현시세를 머리에 넣고 갑니다.

- 길음 신축 대장 : 11억/6.5억(투자금 5억중반 이상) 

- 길음 구축들 : 7-8억대/4억후반-5억대(투자금 2억중후반-3억초반)

 

 

 

 

[돈암, 종암, 월곡]

- 돈암동 역세권 90년식 구축아파트들도(돈암범양, 삼성) 투자금이 2억중반이상이 필요합니다. (6억초/3억중, 전고점 7.5억)

  이럴경우에는 길음동 00년식 구축아파트를 7억초/4억중, 전고점 9억 물건을 사는것이 나을수도 있겠습니다.

- 돈암의 24평 전세가격은 00년식 구축 기준 4억중후반대입니다. 연말까지 꾸준히 올라가다가 1월부터 동대문 입주영향탓인지 전세가 잘 나가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 상급지인 동대문구 영향을 직격으로 받고 있는 성북구 길음~종암,돈암,월곡 생활권 구축아파트

 

 

 

 

 

📍돈암범양 VS 종암SK (돈암, 종암 90년식 역세권 후순위 단지입니다.)

돈암범양 전용83 (6.05/3.8 투자금 2.25억, 전고점 7.58억)

종암sk 전용80 (6.4/4.2 투자금 2.2억, 전고점 8.1억)

 

- 4호선 역세권이며 길음생활권 이용가능한 돈암범양 24평과, 환경은 조금 밀리지만 동북선 확정호재가 있고 방3개인 종암sk 24평이 비슷한 가치라고 느꼈었는데,  종암SK의 가격이 더 높습니다.

-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종암SK가 전고점이 조금 더 높았고 23년 하락장 이후 상승률도 더 높았습니다. 종암sk가 방3개이며 B타입구조의 선호도가 높으며 실거주자들에게 더 선호되는 아파트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가격 정리

돈암, 종암, 월곡 24평 00년식 계단식 구축아파트는 7억초중반/4억초중반(전고점 8억중반) 의 시세를 형성중이며, 전고점대비 -13~18% 하락한 가격으로 24년 실수요장에 거래가 많이 되었던 실거주 선호도가 높은 단지들입니다. 

 

종암아이파크2차 전용77 (7.6/4.6 투자금 3억, 전고점 8.7억)

월곡두산위브 전용82 (6.8/4.2 투자금 2.6억, 전고점 8.4억)

 

-> 실거주 선호도 높은 종암, 돈암, 월국 00년식 계단식 구축아파트 !  7억초중반/4억초중반(전고점 8억중반)

 

 

 

 

 

 

[장위]

- 장위대장 꿈의숲아이파크는 작년 여름(24.08) 전고점인 10.6억을 뚫을 기세로 10억에 실거래되었지만, 현재 9억대로 하락거래되고 있습니다.  -> 동대문구 입주영향과 더불어 대출규제와 정치적 상황을 근거로 24년 실수요들의 선택을 받으며 무섭게 상승거래되었던 장위 신축도 25.02 현재 가격이 낮습니다.

 

- 또하나 눈여겨 보이는점은, 장위 참누리 같은 성북구 전체에서도 외곽이며 실거주 선호도가 떨어지는 비역세권 구축 장위 참누리 , 대명루첸 24평 같은 아파트들은 24년에도 가격상승이 거의 없었다는 점입니다. (상승장 끝에 오를만한 단지)

 

 

 

 

 

[오늘 뽑은 1등]

돈암범양 전용83 (6.05/3.5 투자금 2.55억, 전고점 7.58억)

 

 

 

오늘은 길음, 종암, 돈암, 월곡, 장위 까지만 보겠습니다.

이번달 강의를 듣지 않고 혼자 시세트래킹을 하면서 느끼는점은, 스스로 시장을 보는 힘이 참 많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부족하지만 한달 시세를 꾸준히 보고 다음달엔 서투기로 다시 인풋하도록 해야겠습니다.

 

 

 

 

[전체 단지 리스트]

길음뉴타운6단지래미안 전용78 (9.2/5 투자금 4.2억, 전고점 10.3억)
길음뉴타운6단지래미안 전용104 (11/6.5 투자금 4.5억, 전고점 12.9억)
길음래미안1차 전용78 (8.2/5 투자금 3.2억, 전고점 9.25억)
길음뉴타운11단지롯데캐슬골든힐스 전용82 (8.5/5.3 투자금 3.2억, 전고점 9.6억)
길음뉴타운4단지e편한세상 전용79 (7.3/4.6 투자금 2.7억, 전고점 9억)
돈암삼성 전용79 (6.45/3.7 투자금 2.75억, 전고점 7.6억)
돈암범양 전용83 (6.05/3.8 투자금 2.25억, 전고점 7.58억)
종암아이파크1차 전용81 (7.95/4.6 투자금 3.35억, 전고점 8.95억)
종암아이파크2차 전용77 (7.6/4.6 투자금 3억, 전고점 8.7억)
종암sk 전용80 (6.4/4.2 투자금 2.2억, 전고점 8.1억)
월곡래미안루나밸리 전용79 (8.3/4.9 투자금 3.4억, 전고점 9억)
월곡두산위브 전용82 (6.8/4.2 투자금 2.6억, 전고점 8.4억)
래미안월곡 전용79 (7.4/4.5 투자금 2.9억, 전고점 8.92억)
꿈의숲아이파크 전용84 (9.9/5.2 투자금 4.7억, 전고점 10.2억)

 

 

 

 

 

 

 

반응형

 

📍30평대 시세그룹핑

 

 

 

동작구 대장 아리하 국평의 호가는 23억이다. 최근 27억도 거래되었는데 잠실과 거의 버금갈정도로 이곳에 살고싶어하는 부자의 수요가 있다.

명수대현대, 한강현대처럼 흑석한강변 단지들도 동작구에서 높은 시세를 형성중이다.

동작구 시세그룹핑을 해보니 연식에 따라 가격이 비례하는것이 아닌, 입지에따라 비례하는 전형적인 상급지의 시세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품성보다 땅의가치가 중요한곳 !

13~15억대에는 연식이 좋거나 실거주가치가 높은 단지들이 포진해있는데 7호선 상도쪽 신축단지들 가격이 괜찮아보인다.

12억대 이하로 내려오면 대부분 준구축이하의 아파트들이다.

상도롯캐골든포레, 상도효성해링턴은 입지가 떨어지지만 전용4 가격이 12억대면 동작구안에서 싼편이라고 생각된다.

10억대 단지들중 실거주선호되는 좋은단지들이 많은데, 입지가 좋은 순서대로 투자검토할것같다.

8~9억대는 동작구에서 가장 떨어지는 30평대 아파트들이지만 실거주하기 나쁘지 않은 역세권아파트들이기 때문에 다른 앞마당들과 비교평가해서 선택할 수 있다.

 

 


📍20평대 시세그룹핑

아리하 제외하고 동작구의 20평대 천장은 15~17억대 수준이다. 이는 강서구 13억, 성북구, 동대문구 12억대와 비교하면 동작구의 위상을 알 수 있다.(4군과 3억정도의 갭을 벌린다.)

동작구 안에서 20평대 시세를 리딩하는 아파트는 흑석, 사당, 상도의 신축아파트들이다.

10억대 단지들중에서는 상도효성해링턴이 연식에 비해 싸다고 생각된다. 나머지 단지들은 비슷한 연식과 입지로 더 좋은 가치를 가지는 30평대를 검토할 것 같다.(전고점 11~12억 수준)

20평대 8~9억대 단지들은 30평대 9억대 단지들보다 20평대 단지들이 더 입지가 좋고 가격이 좋다고 생각되어 20평대를 먼저 볼 것 같다. 지금 현장에는 8억이하로도 물건이 있는데 전세가격이 5억 중반대로 올라가면 투자금 2억대로 동작구 20평대구축을 투자할 수 있다.

 

 

반응형

 

[먀먀둥이] 2월 시세 #6 동작구

[흑석동]

  • 흑석동은 전용59, 전용84 모두 전고점을넘은 상승거래가 된 상황입니다.
  • 흑석동양 아파트도 24평 기준, 1년전인 24년도에 8억대 매물들이 많았지만 현재 호가는 9.5억입니다. (전고 10.8억) 흑석에서 언덕이 매우 심하고 선호도가 떨어지는 구축아파트이지만 8억대는 정말 싼것 같습니다. 9억대 초반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되지만 다른 구나 생활권에서 9억대 초라면 '입지가 좋고 선호도가 좋은 아파트'를 찾아볼 것 같습니다.

 

 

[상도동]

  • 7호선 라인을 품고 개발된 상도동에는 연식이 좋은 단지들이 많습니다. (지주택 재개발)
  • 전용 59기준 12~13억대, 전용84 기준 13~15억대 가격을 형성중입니다.
  • 연식이 좋아 전세가가 높기 때문에 전세가율이 50%이상으로 높은편입니다.(59기준 6-7억대, 84기준 8억대 전세가 형성중)

 

[사당,이수]

  • 사당동 신축 로이파크, 리가, 두산위브트레지움은 전고점을 돌파한모습입니다.
  • 우극신 포함 재개발을 앞두고 있는 구축아파트들도 전고점과 유사한 호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노량진,본동]

  • 노량진, 본동 생활권 언덕 구축아파트들의 24평 가격이 9억대입니다. 흑석 못난이 흑석동양, 우리유앤미와 비슷한 호가이며 전고점도 유사합니다. (투자금은 3억후반대, 전고점은 10-11억대) 이런경우 같은 투자금 3억대로 더 저평가되고 선호되는 단지를 찾거나, 둘중 더 많이 깎이는 물건을 찾을것 같습니다.

 

 

[대방, 신대방]

  • 대방역 생활권은 동작구에서 손꼽히는 평지이며 실거주 선호도도 높은곳인점, 노량진뉴타운 개발 호재영향을 받은점 등으로 가격대가 짱짱한편입니다. 전용84 기준 12억~13억대입니다.
  • 반면 신대방쪽은 동작구안에서 유일하게 가격 상승이 크지 않은 생활권입니다. 실제로 25년 2월 현장에서 가격조정이 더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 보라매자이더포레스트가 21년식인데 24평 가격이 11.9억입니다. 전세가는 7.5억으로 높게 형성되어 투자금을 줄일 수 있어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역세권신축이지만 선호도가 떨어지는 단지라 다른생활권들에 비해 가격 상승을 가져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 현장에서 보라매롯데낙천대 기본집을 8.05에 보았습니다. 7억대면 더 좋겠지만 충분히 싸다고 생각했습니다. 수리비 제외 순수 투자금을 3억정도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 신대방생활권에서는 30평대를 8억초중반/5억중반으로 좁혀 순수투자금 2억후반대로 투자하고 싶습니다.

 

 

[오늘 뽑은 1등]

신대방현대 전용107 (9.3/6.3 투자금 3억, 전고점 11.7억)

 

[오늘 본 단지들]

아크로리버하임 전용80 (19.5/9 투자금 10.5억, 전고점 18.1억)
아크로리버하임 전용112 (23/10.5 투자금 12.5억, 전고점 26.8억)
롯데캐슬에듀포레 전용81 (15.7/8.2 투자금 7.5억, 전고점 15.5억)
흑석한강센트레빌2차 전용80 (14/7 투자금 7억, 전고점 13.5억)
흑석한강센트레빌2차 전용111 (15.8/8 투자금 7.8억, 전고점 17.6억)
흑석동양 전용79 (9.5/5.5 투자금 4억, 전고점 10.8억)
흑석동양 전용109 (10.95/7.1 투자금 3.85억, 전고점 12.5억)
우리유앤미 전용81 (8.5/5 투자금 3.5억, 전고점 9.7억)
우리유앤미 전용103 (10/5.5 투자금 4.5억, 전고점 10.7억)
래미안상도3차 전용76 (11.5/6.6 투자금 4.9억, 전고점 12.5억)
래미안상도3차 전용84 (13/7.2 투자금 5.8억, 전고점 15억)
래미안상도2차 전용76 (9.5/5.7 투자금 3.8억, 전고점 10.4억)
래미안상도2차 전용102 (10.8/6.3 투자금 4.5억, 전고점 11.7억)
상도역롯데캐슬파크엘 전용80 (13.5/7.1 투자금 6.4억, 전고점 14.5억)
힐스테이트상도프레스티지 전용82 (12.9/6.5 투자금 6.4억, 전고점 13억)
상도중앙하이츠빌 전용75 (9.5/0 투자금 9.5억, 전고점 9.5억)
상도중앙하이츠빌 전용106 (10.5/5.7 투자금 4.8억, 전고점 12.2억)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 전용83 (11/7 투자금 4억, 전고점 11.3억)
사당롯데캐슬골든포레 전용112 (12.8/7.6 투자금 5.2억, 전고점 14억)
사당자이 전용81 (8/4.5 투자금 3.5억, 전고점 9.3억)
사당자이 전용107 (9.6/5.6 투자금 4억, 전고점 10.8억)
두산위브트레지움 전용79 (13.2/7.7 투자금 5.5억, 전고점 14억)
사당우성2단지 전용77 (11/5.8 투자금 5.2억, 전고점 12.4억)
래미안로이파크 전용80 (14.7/8 투자금 6.7억, 전고점 14.8억)
이수힐스테이트 전용80 (14/8 투자금 6억, 전고점 14.5억)
노량진쌍용예가 전용79 (11.5/6.1 투자금 5.4억, 전고점 12.4억)
노량진쌍용예가 전용111 (13/0 투자금 13억, 전고점 14.3억)
신동아리버파크 전용85 (9.1/5.3 투자금 3.8억, 전고점 10억)
신동아리버파크 전용109 (11/6.2 투자금 4.8억, 전고점 12.6억)
삼성래미안 전용80 (10.4/6.5 투자금 3.9억, 전고점 11.8억)
본동신동아 전용109 (10.3/5.5 투자금 4.8억, 전고점 11.5억)
본동한신휴플러스 전용71 (9/0 투자금 9억, 전고점 10.1억)
대방e-편한세상1차 전용105 (13.5/7.8 투자금 5.7억, 전고점 15.7억)
대방성원 전용103 (12/7.5 투자금 4.5억, 전고점 14.1억)
대방주공2단지 전용80 (9.8/5.2 투자금 4.6억, 전고점 10.6억)
보라매자이더포레스트 전용83 (11.9/7.5 투자금 4.4억, 전고점 12.1억)
신대방우성1차 전용84 (8/4.5 투자금 3.5억, 전고점 11억)
신대방현대 전용107 (9.3/6.3 투자금 3억, 전고점 11.7억)
보라매롯데낙천대 전용74 (8.05/4.8 투자금 3.25억, 전고점 9.3억)

 

 

 

반응형

 

[먀먀둥이] 2월 시세 #2 구로구, 금천구

  • 금천구 벽산5단지 같은 경우는 1억이라는 소액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황이다. 벽산5단지 전용59 (4.35/3.3 투자금 1.05억, 전고점 6.2억) 23년 4월 임장했을때 전용59 전세가가 2억중반대로 투자금이 2억이상 필요한 상황이였다. 그때는 전용59 가격이 3.8억도 있었기에 가격이싸다고 생각했었는데 투자금이 많이 드는 단지였다. 이 단지는 아직도 어떻게 봐야할지 헷갈린다. 4억초/3억중반 (투자금1억)으로 광역시투자와 비교해볼 수 있는것일까? -> 선호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투자하지 않는것이라고 배웠다. 내가 살고싶지 않은 단지에 투자하지 않는다고 배웠고, 저환수원리 투자기준중 환금성(내가 팔고싶을때 팔수 있는지) 기준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투자하지 않는다고 일단 결론짓자.
  • 전용84 기준, 송도 웰카운티1단지 7억(전고 9억), 금천구 남서울힐스 9.3억(전고 10.5억) 이다. 금천구라고 보지 않을것이 아니라, 금천구 안에서도 선호도 있어서 사람들이 거주하고 싶어하는 남서울힐스나 독산롯캐같은 경우에는 경기도외곽 or 인천의 선호도 높은 단지보다도 선호될수있으므로 금천구안에서도 주요단지들을 잘 보아야한다.
  • 이건 뭐지..? 시흥동 롯캐골드1차 24평 전세 2.1602억에 거래가 왕창되었음.23.01에 3.098억에 거래가 되었고 이번에 갱신한것같다. 사택같은거일듯한데.. 전임해서 물어보자! -> 장기전세 183세대가 있다고 함.

 

대표사진 삭제
  • 신도림대림1,2차(e편한세상) 전용108 (10.9/7 투자금 3.9억, 전고점 12.6억) : 33평을 10억이하로 살 수 있다는 가정하에, 투자금 3.5억대로 할 수 있는 3~4군 단지들과 비교해볼 수 있다. -> 구로구 안에는 신도림이 3.5억대로 해볼만한 가치있는 단지가 있다.(33평 전고점 13억 수준(가치성장투자))
  • 그리고 전용 84기준, 신도림롯데, 신도림현대를 8억중반대/6.5억 (투자금 2.5억, 전고점 11억 수준) 가치성장투자를 해볼만하다.

** 자모멘토님 말씀 : 서울 전고점 10억이면 가치성장투자로 가져갈 수 있다.

  • 신도림생활권과 개봉생활권 모두 투자금이 2억중반대~3억대 필요하고, 모두 저평가수준도 비슷하기 때문에 좋은생활권부터 보는것이 좋다. (이래서 좋은것부터 보라고 하는구나!)
  • 개봉역에 GTX-B 호재가 있어서 개봉생활권, 고척생활권이 향후 교통이 더 좋아질것으로 생각됨. 지금 시세에는 반영되어 있지 않은듯?
  • 개봉생활권 구축 24평 7억 비싸다. 동대문구나 수지구 등 24평 7억대 찾는게 낫다.
  • 20평대 기준 신도림이 9억대/5억대, 개봉이 7억대/4억초중반대, 오류동 5-6억대, 항동 6억대, 천왕 7억대
  • 구로 개봉아이파크, 성북구 삼선푸르지오 가격이 비슷하게 간다. (7억대/4억대) 4급지 성북구 안에서 선호도가 중간정도인 보문생활권 언덕 아파트와, 5급지인 구로구 안에서 선호도가 중상급인 개봉아이파크의 가격이 비슷하게 간것같다. 업무지구 접근성은 비슷한것같고 수요와 가치도 비슷한것 같다.
  • 부천범박-역곡 생활권과 구로에서 선호도 떨어지는 구축을 비교해보았다. (개봉삼환 / 오류삼천리 / 범박힐스4) (33평 기준 전고 7억 이하. 이런단지들은 지방 선호 신축 30평대가 나을 수 있다.) 그래프를 찍어보니, 부천범박힐스가 연식이 준구축으로 좋고, 아파트가 몰려있음에도, 1호선역세권인 썩구축 구로 아파트가 더 선호도가 높다. (전세가도 구로 역세권 썩구축이 높음)
남서울힐스테이트 전용82 (7.9/5.2 투자금 2.7억, 전고점 8.6억)
남서울힐스테이트 전용115 (9.3/6 투자금 3.3억, 전고점 10.5억)
벽산5단지 전용77 (4.35/3.3 투자금 1.05억, 전고점 6.2억)
벽산5단지 전용99 (5.7/4.3 투자금 1.4억, 전고점 7.5억)
벽산1단지 전용105 (5.1/4 투자금 1.1억, 전고점 6.48억)
가산두산위브 전용107 (7/4.5 투자금 2.5억, 전고점 8.5억)
금천현대 전용80 (5.48/3 투자금 2.48억, 전고점 7억)
금천현대 전용108 (6.8/4.5 투자금 2.3억, 전고점 8.15억)
롯데캐슬골드파크1차 전용81 (9.5/5.7 투자금 3.8억, 전고점 10.4억)
롯데캐슬골드파크1차 전용115 (11.5/6.9 투자금 4.6억, 전고점 13.7억)
신도림4차e-편한세상 전용114 (15.3/8 투자금 7.3억, 전고점 16.3억)
신도림대림1,2차(e편한세상) 전용108 (10.9/7 투자금 3.9억, 전고점 12.6억)
신도림롯데 전용80 (8.3/5 투자금 3.3억, 전고점 8.7억)
신도림롯데 전용108 (9.3/6.5 투자금 2.8억, 전고점 11.4억)
개봉한마을 전용80 (7/4.5 투자금 2.5억, 전고점 8.4억)
개봉한마을 전용107 (8.3/5.3 투자금 3억, 전고점 9.7억)
개봉현대홈타운2단지 전용82 (6.4/3.9 투자금 2.5억, 전고점 7.9억)
개봉현대홈타운2단지 전용104 (7.8/4.7 투자금 3.1억, 전고점 9.5억)
개봉푸르지오 전용110 (8.5/4.9 투자금 3.6억, 전고점 10.5억)
영풍마드레빌 전용113 (7/5 투자금 2억, 전고점 8.5억)
오류삼천리 전용77 (5.5/3.8 투자금 1.7억, 전고점 6.5억)
오류삼천리 전용103 (6.3/4.9 투자금 1.4억, 전고점 7.6억)
부천범박힐스테이트3단지 전용112 (5.4/4.1 투자금 1.3억, 전고점 6.9억)

 

반응형

+ Recent posts